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삼성전자·SK하이닉스, 2018년 D램 공급량 부족에 따른 수혜볼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D램 공급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불균형 사태가 2018년까지 지속되며 시장 1,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IT조선

21일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는 2018년 D램 비트그로스(비트 기준 생산량 증가율)가 연간 19.6%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는 제조사의 D램 생산 용량이 전년 대비 20%쯤 증가함을 의미한다.

2018년 D램 비트 기준 시장 수요는 생산량을 웃도는 20.6%가 될 전망이다. 스마트폰 메모리 저장공간 증가와 서버 시장 수요가 견조세를 유지해 D램 공급 부족 추세가 지속된다. D램익스체인지는 메모리 제조사가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D램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등 세 개 회사가 과점하는 구조다. 시장점유율은 2017년 2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45.1%, SK하이닉스가 26.8%, 마이크론이 22.8% 수준이다.

D램익스체인지 한 관계자는 "D램 제조사가 2018년 설비투자를 크게 늘리지 않을 전망이다"며 "D램 공급량은 2019년까지 타이트한 상황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IT조선 노동균 기자 saferoh@chosunbiz.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