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낙동강 녹조 건강피해, 없나 모르나?…"유해녹조 건강피해 조사 나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유해녹조 대발생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도입하자는 환경단체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사)환경정의가 강살리기네트워크·국토환경연구소와 함께 개최한 '건강을 위협하는 4대강 녹조문제와 그 해결방안' 토론회에서 김미선 환경정의연구소 부소장은 "낙동강, 금강 등 대량발생 유역의 보 인근 지역과 낙동강 수돗물 공급받는 주민의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부소장은 이날 '녹조우심지역 주민의 잠재적 건강피해' 주제 발표에서 "유해녹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수질 안전성에 대한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조류관리와 관련된 매뉴얼과 지침이 존재하지만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정수처리 기술 중심의 지침으로 인해 위험을 사전에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특히 4대강 유역의 남조류 위험도 조사결과 낙동강 상수원구역은 남조류 경계 경보가 다른 4대강에 비해 많고, 남조류 발생 지점의 수도 해마다 증가 추세다.

WHO가 발표한 물안전계획의 수도시스템 위험도 계산법으로 남조류 위험도를 산출한 결과 낙동강 내 측정소 중에서도 합천창녕보(덕곡)와 창녕함안보(함안)의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고 김 부소장은 밝혔다.

남조류 발생 급증은 곧장 수돗물 오염 문제로 이어진다.

녹조를 없애기 위해 화학약품이 투입되는 데, 결과적으로 수돗물에 인체에 좋지 않은 소독부산물이 쌓인다.

대표적인 것이 '총트리할로메탄(THMs)'으로, 과거 이 물질에 오염된 수돗물을 마시고 사망하는 사례가발생하기도 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낙동강 수계 21개 정수장의 수돗물에서 최근 12년간 평균농도 0.026㎎/ℓ의 THMs가 검출돼 먹는물 수질기준(0.1mg/ℓ)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전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수돗물 검사 항목에는 THMs가 포함돼 있지 않아 정보 공개를 확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현정 가톨릭관동대 연구교수는 '녹조와 소독 부산물' 주제 발표에서 "THM은 가정에 공급되는 수도꼭지에서는 정수장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안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우선 현재로서는 남조류의 건강위해성 정보가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지 않아 정확한 데이터 수집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해녹조 건강피해 감시체계를 구축해, 단기적으로는 낙동강변 생물들에 대한 독성 검사를 실시하고 하천감시원 등에 대한 건강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주민건강영향평가 실시, 독성 발현 경로, 생물축적, 응급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며, 이후에도 상시적·지속적 감시 기구를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ijoinon@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