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ET투자뉴스]네오팜_투심과 거래량은 약세, 현재주가는 보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업종평균에 비해서 변동폭 대비 수익률은 긍정적

20일 오전 10시55분 현재 전일대비 2.13% 오른 28,800원을 기록하고 있는 네오팜은 지난 1개월간 2.49% 상승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2.1%를 기록했다. 이는 화학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네오팜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상당히 높았지만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네오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1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이 낮은 상태에서 주가흐름은 양호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화학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2.0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네오팜이 속해 있는 화학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디엔에프 3.1% 15.0% 4.8
라이온켐텍 2.9% -7.5% -2.5
리더스코스메틱 2.2% -16.4% -7.4
네오팜 2.1% 2.5% 1.1
SK바이오랜드 0.8% -0.6% -0.7
코스닥 0.5% 4.8% 9.6
화학 0.7% -1.4% -2.0


관련종목들 상승 우위, 화학업종 -0.08%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 중에서는 상승종목이 더 많지만 화학업종은 0.08% 하락중이다.
리더스코스메틱

11,700원

▼50(-0.43%)
디엔에프

19,200원

▲350(+1.86%)
SK바이오랜드

16,000원

▲300(+1.91%)
라이온켐텍

13,650원

▲150(+1.11%)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23.56%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26.07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4.98로 다소 높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네오팜은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과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네오팜 라이온켐텍 디엔에프 SK바이오랜드 리더스코스메틱
ROE 19.1 12.1 15.9 9.4 8.6
PER 26.1 16.6 18.3 18.8 26.6
PBR 5.0 2.0 2.9 1.8 2.3
기준년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9월18일부터 전일까지 외국인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기세를 이어가며 9,377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기를 떨어뜨리면서도 5,679주를 순매수했다. 하지만 기관은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15,056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전자신문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37%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네오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37%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48%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78.72%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10.71%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10.55%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75.19%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18.49%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6.31%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전자신문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투심과 거래량은 약세, 현재주가는 보통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이며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는 약세국면에서 단기적으로 반등이 나오고 있다.


주요 매물구간인 32,75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32,7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32,750원대는 전체 거래의 20%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2,15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2매물대인 32,15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2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32,150원대의 저항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