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긴급 진단] "기저귀는 어떡하냐"...'기저귀 포비아' 우려 확산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리대 이어 기저귀도 안전성 우려..."유사물품도 점검 필요"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기저귀도 생리대처럼 부작용이 있을 텐데…, 어쩌죠?"

11개월 된 딸을 키우고 있는 육아맘 정미희(가명·서울) 씨는 최근 천기저귀 구입을 고려하고 있다. 릴리안 생리대 유해성 논란이 일면서 일회용기저귀의 안전성에 의심이 들어서다. 정 씨는 "아기 기저귀는 괜찮겠느냐"며 "이제 곧 돌을 앞두고 있는데, 천기저귀를 써야 하나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논란으로 '일회용생리대 포비아'(생리대공포증)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 사이에서는 아기 피부에 직접 닿는 육아용품 기저귀에 대한 불안감까지 커졌다. 릴리안 생리대를 쓰고 난 뒤 "생리량과 생리일수가 줄었다"는 등의 부작용 제보가 몇 달 새 수 천 건에 이르면서, 엄마들로서는 생리대와 주원료가 같은 기저귀도 부작용 가능성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베이비뉴스

부모들은 기저귀 안전성에 대한 의심을 드러내며 걱정과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기태 기자 ⓒ베이비뉴스


◇ "생리대와 기저귀, 원료 면에서 큰 차이 없어"

현재 부모들은 육아 커뮤니티 게시판에 기저귀 안전성에 대한 의심을 드러내며 걱정과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생리대 포비아' 현상에 이어서 '기저귀 포비아' 현상이 육아맘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는 셈.

100일 된 신생아를 키우는 한 엄마는 "생리대나 기저귀나 한 끗 차이 아니냐"며 "기저귀는 안전할지 걱정된다. 계속 한 브랜드만 쓰고 있는데, 아기들이 쓰는 기저귀에까지 그런 장난은 치질 않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17개월 아들을 키우는 한 엄마는 "생리대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고 하면 기저귀 성분도 공개해야 한다"며 "생리대와 기저귀는 원리나 성분, 제조 방식 등이 똑같을 것 같은데, 기저귀에 대한 말이 없어 답답하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아기 기저귀는 흡수하는 물질이 소변이냐, 생리혈이냐의 차이일 뿐, 원료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제조업체는 기저귀와 생리대의 내부 관리 기준을 같은 수준으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주최한 ‘여성건강을 위한 월경용품 토론회’에서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가 "아기 기저귀도 위생용품으로 기본적으로 생리대와 똑같다"며 "같은 방식으로 독성물질 등이 노출될 경우 독성 화학적으로 보면 어른보다 아이가 더 위험하다. 아기 기저귀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부모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생리대 전수 검사와 함께 기저귀 등 피부에 닿는 다른 물품 검사도 함께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육아맘은 "우리나라는 항상 뒷북친다. 생리대 부작용으로 난린데 기저귀도 미리 검사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너무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정부는 21일 문제의 생리대 제품들의 안전성 여부만 검사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전수조사는 고사하고 유사 용품과 관련한 조사 계획도 사실상 전무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부모들은 차라리 일회용기저귀의 대안인 천기저귀를 쓰겠다는 입장이다. 30개월 아들을 키우고 있는 이솔진(가명·화성) 씨는 "천기저귀 쓰자니 (세탁할) 자신은 없고, 친환경 기저귀로 바꿔야 하나 고민"이라며 "천기저귀에 대해 검색하며 공부 중"이라고 전했다.

◇ 시민단체 "유사 물품 미리 점검해야"

시민단체 측은 정부 차원에서 생리대뿐만 아니라 유사 물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도 미리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양희 여성환경연대 시민참여팀장은 "아기 기저귀, 성인용 기저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작용) 제보도 적지 않게 들어오고 있다. 문제의 생리대 제품만 검사하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더 큰 문제를 낳기 전에 팬티라이너, 탐폰, 기저귀와 같은 유사 물품도 미리 점검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불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수현 소비자시민모임 정책실장도 "생리대뿐만 아니라 조사 대상을 확대해 유사 용품에 관한 안전성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소비자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검사 과정 등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s ⓒ 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