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인종 갈등` 기름부은 트럼프…남북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레이더뉴스 / '노예해방 선언' 154년…역사 거슬러가는 미국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 6월 26일.

"놀라운 은총, 얼마나 감미로운 소리인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나직이 부르기 시작했다. 찰스턴 대학 강당에서 열린 테러 희생자 추도식에서였다. 이 곡을 작사한 존 뉴턴 신부는 흑인 노예무역에 관여했던 자신의 과거를 깊이 후회하고 그의 잘못을 사하여 준 신의 은총에 감사하는 마음을 노래에 담았다. 오바마 대통령의 예상치 못한 이 행동은 인종 갈등에 분노한 미국인들의 마음을 촉촉이 적셨다. 미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흑인교회에서 백인 청년의 '증오범죄'로 추정되는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 흑인 9명이 숨진 충격의 사건 이후 9일 만이었다.

워싱턴포스트와 CNN 등 미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의 재직 기간 중 최고의 순간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일경제

#2017년 8월 12일.

미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백인우월주의자들의 대규모 폭력시위가 일어났다. 남북전쟁 때 남부연합군을 이끌었던 백인우월주의의 상징으로 꼽히는 로버트 리 장군의 동상을 철거하기로 하자 백인 극우주의자들이 거세게 반발한 것이다. 이에 맞서 흑인 민권단체 회원들이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1명이 숨지고 35명이 다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양측 모두에 유혈사태의 책임을 돌리는 등 백인우월주의자들을 제대로 비판하지 않자 미 정치권과 기업인들은 그의 부적절한 처신을 일제히 비판했다.

트럼프 지지 세력으로 꼽히던 월가의 제이미 다이먼과 공화당 인사들까지 등을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사회 갈등의 근원인 인종차별 문제를 제대로 건드린 모양새다. 갈등과 분열을 다독이기는커녕 백인우월주의자들과 충돌을 일으킨 흑인 시위대를 함께 비난하고, 동상 철거에 나선 지방정부에도 화살을 돌렸다. 반면 백인우월주의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들을 직접 공격하지 않았다면서 그의 '여러 편' 발언을 지지했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최근 미국인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미국인 10명 중 6명(61%)은 "흑인들을 차별하는 인종주의가 미국 사회에 만연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1기 때인 2009년의 51%보다 10%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 NPR와 PBS 뉴스아워, 마리스트 폴이 미국 성인 1125명에게 물었더니 응답자의 52%는 트럼프 집권 이후 미국 내 인종 문제가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답했다. 나아졌다는 답은 9%에 불과했다. 미 시사주간지 뉴요커는 "미국이 새로운 형태의 남북전쟁으로 향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흑백 갈등을 조장하는 인종차별적 발언은 미국 사회에서 일종의 '금기어'로 통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분위기다. 그의 배짱 행보에는 백인 보수·노동자층의 변함없는 지지를 붙잡으면 된다는 계산이 깔려 있는 듯하다.

흑인 인권운동에 앞장섰던 마틴 루서 킹 목사는 생전에 "미국에 있는 어느 누구도 아웃사이더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초반부터 '반이민 행정명령'을 들고나오면서 내 편과 네 편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선을 긋기 시작했다. 불법 체류자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벌어졌고 무슬림 7개국 출신들의 미국 입국이 금지되기도 했다. 미국인들의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이 따랐지만 내동댕이쳐지는 타깃은 대부분 유색인종들이었다. 전 세계가 경악했다.

월가 금융기관의 한 인사는 "트럼프 대통령은 반이민 정책과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 보호무역주의에 이어 최근 인종차별주의를 방조하는 듯한 발언을 서슴지 않았는데 이 같은 행보의 기저에는 미국인, 특히 전통적 백인들의 이익을 대변하려는 취지가 깔려 있다"고 해석했다.

급기야 지난 1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두 편에 다 책임이 있다. 대안우파를 공격한 대안좌파는 어떤가. 그들은 죄가 없는가"라고 반문하면서 백인 극우단체를 두둔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자 간신히 봉합되려는 듯했던 인종차별 논란은 다시 봇물 터지듯 확산됐다.

폴 라이언 공화당 하원의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분명히 해야 한다. 백인우월주의는 역겹다. 도덕적 모호성은 안 된다"고 썼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성명을 통해 "백인우월주의자들이 당신(트럼프)의 발언에 환호했다면 당신은 아주아주 잘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위대한 미국 대통령은 분열이 아니라 통합을 추구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켄터키주 렉싱턴시는 샬러츠빌 사태를 계기로 예정보다 앞당겨 남부연합 조형물을 철거하기로 했고,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는 16일 새벽 로버트 리 장군과 토머스 잭슨 장군의 동상 등 남부연합 상징 동상 4개를 일시에 철거했다. 인종 갈등의 불씨를 제거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움직임이 가속화하자 이에 반발하는 백인우월주의자들의 행동도 점차 대담해지고 있다. 노예해방을 이끈 에이브러햄 링컨 전 미국 대통령을 기리는 '링컨 메모리얼 기념관'에는 욕설을 휘갈겨 쓴 스프레이 낙서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또한 극우단체의 후속 시위로 추가 충돌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매일경제

미 대륙에 흑인이 첫발을 내디딘 건 1619년이었다. 당시 흑인들은 백인들의 농사에 필요한 노동력일 뿐이었다. 소나 말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철저히 노예로 취급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1862년 에이브러햄 링컨의 노예해방 선언은 기득권층인 백인들의 거센 반발을 초래했고 1865년 백인우월주의단체 큐클럭스클랜(KKK)단 출범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남북전쟁의 패배로 절망에 빠진 남부 재향군인들이 주축이 돼 테네시주에서 조직을 창설했다.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서 킹 목사가 1963년 4월 워싱턴DC 링컨기념관 앞에서 단행한 '우리는 왜 기다릴 수 없나' 연설은 흑인 민권운동에 불을 지폈다. 1964년 민권법이 제정돼 백인 전용 공간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그 이듬해에는 흑인투표보장법이 만들어졌다. 링컨 대통령의 노예해방 선언 100여 년 만의 괄목할 만한 변화였다.

하지만 1968년 마틴 루서 킹 목사의 암살은 인종 폭동을 걷잡을 수 없이 확산시켰다. 폭동에 가담해 체포된 사람만 수천 명에 달했다. 이후에도 백인 경찰들이 흑인 로드니 킹을 무차별 구타한 사건(1991년), 비무장 상태의 흑인 청년이 백인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후 폭동으로 번진 미주리주 퍼거슨시 사태(2014년), 21세 백인 남성 인종차별주의자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흑인교회에 총격을 가해 흑인 9명을 살해한 사건(2015년) 등 인종 갈등에 불을 지핀 대형 사태가 잇따랐다.

최근 샬러츠빌 폭력 사태의 단초를 제공한 '남부연합기'는 오늘날 미국 인종차별주의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인식되고 있다. 옛 남부지역 출신 군인들이 지역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사용한 것을 계기로 조지아주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에 퍼지기 시작했고 2000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 건물에도 걸렸다.

약 150년 전 남북전쟁 때 쓰였던 깃발이 본격적으로 정치 쟁점화된 것은 2015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흑인교회 총기난사 사건의 범인이 자신의 웹사이트에 남부연합기를 들고 있는 사진을 띄우면서부터다. 찰스턴 사건 발생지를 지역구로 둔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주 의회 건물에 더 이상 이 깃발을 걸지 말자고 제의했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주지사가 된 니키 헤일리 등 이에 동조하는 정치인들이 늘어났다.

반면 남부연합기는 KKK를 비롯한 미국의 인종차별주의 단체들이 자신들의 상징으로 삼으면서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에서 남부연합군을 이끌었던 로버트 리 장군도 예상치 못하게 백인우월주의의 표상이 됐다. 리 장군은 정책적으로는 남부연합과 엇갈린 의견을 갖고 있었지만 고향인 버지니아주가 남부연합에 가담하자 연방군에서 퇴역한 후 남부연합군의 사령관으로서 분투하며 후대에까지 높은 명성을 이어갔다.

노예 소유주였던 그가 사망한 후 남부 재건운동을 펼치던 사람들은 리 장군을 남부동맹의 상징으로 부각시켰다.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의 리 장군 동상은 1924년 세워졌다. 최근에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 제작진이 차기 작품으로 미국에서 노예제도가 유지되고 있는 가상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 '연합(Confederate)'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에 미국 내에서 논란이 격화된 바 있다.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서울 = 문재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