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한국GM, '철수설' 반박…"한국은 5번째로 큰 시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GM이 내수·수출 동반 부진과 노사 갈등, 통상임금 논란 등으로 국내 자동차업계가 역대 최대 위기를 맞으면서 불거진 한국 시장 철수설과 관련해 "철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반박했다.

한국이 글로벌 GM 입장에서 디자인 및 연구개발(R&D) 거점인 동시에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시장인 만큼 쉽게 포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사실 GM의 한국 철수설은 올해 처음 불거진 것이 아니라 최근 수년간 해마다 되풀이되는 소문이다. 이 전망의 가장 강력한 근거는 글로벌 GM의 대대적 구조조정이다.

GM은 2013년 말 이후 올해 5월까지 유럽 사업 철수, 호주·인도네시아 공장 철수, 태국·러시아 생산 중단 또는 축소, 계열사 오펠(OPEL) 매각, 인도 내수시장 철수, 남아프리카공화국 쉐보레 브랜드 철수 등을 차례로 단행했다.

한국GM의 경영 악화와 인건비 상승 등 비용 부담도 철수설에 영향을 끼쳤다.

한국GM은 예상보다 저조한 신차 인기와 유럽 수출 감소 등으로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3년 동안 2조 원에 이르는 누적 적자를 냈다.

한국GM에 따르면 현재 임금 수준은 2002년의 2.5배까지 뛰었고, 총 인건비(2015년 기준)는 2010년과 비교해 50% 이상 늘었다.

특히 2002년 GM이 약속한 15년 경영권 유지의 기한이 도래하면서 오는 10월 이후 한국GM의 지분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더해져 철수설이 더욱 힘을 얻는 상황이다.

하지만 당사자 한국GM 관계자들은 한목소리로 "철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들은 우선 한국GM의 중요성을 강조한 지난달 스테판 자코비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의 발언을 근거로 들었다.

당시 그는 "GM은 수익성에 중점을 두고 글로벌 사업을 유지한다"며 "각 시장에서 성과를 강화하는 것을 물론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데 여기에는 한국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또 "한국GM은 GM 내 생산, 디자인, 엔지니어링 허브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GM은 한국 시장 수익성 향상에 집중하고, 앞으로도 사업 파트너와 협력해 회사 경쟁력과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GM은 현재 국내에 4개 생산공장을 운영할 뿐 아니라 신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센터와 기술연구소, 프루빙그라운드(주행테스트장)까지 거느린 세계에 7개뿐인 'GM 종합 사업장' 중 하나이다. 특히 2014년 400억원을 투자해 새로 단장(리모델링)한 디자인센터는 GM그룹 내 세 번째 규모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