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실험동물에도 암수 균형 필요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미래&과학]



한겨레

질환 연구에 쓰이는 실험동물 쥐.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인 성과 사회문화적인 젠더의 남녀 차이를 과학기술에 올바로 반영해 편견 없는 연구를 하자는 게 젠더 혁신이지요. 실험동물의 성별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지금은 성별 데이터를 밝히고 암·수컷 균형을 맞추도록 권고하고 있지요.” 여성과학기술인단체총연합 부설 젠더혁신연구센터의 백희영 센터장(서울대 명예교수)은 “국제사회에서 연구 과정에 성·젠더를 고려하도록 의무화하는 곳이 늘고 있어 우리도 젠더 혁신에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수컷동물에게만 실험한 신약
여성에게 부작용 일어날 수도

젠더 혁신은 2005년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론다 시빙어 교수가 주창하고, 이후에 확산한 과학·공학의 새로운 연구 태도 또는 방식으로, 과학기술에 스며 있는 남성 중심에서 벗어나 편견 없는 지식을 얻자는 제안으로 요약된다. 국내에선 2013년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관심이 일기 시작해 2015년 국제 행사인 ‘젠더서밋’을 서울에서 연 데 이어 지난해 젠더혁신연구센터가 정식 출범했다.

젠더 혁신의 동향을 담고 있는 누리집(genderedinnovations.stanford.edu)을 보면, 성·젠더 차이를 과학기술에 반영해야 하는 근거를 밝히는 연구나 젠더 혁신을 통해 이룬 연구 사례들은 그동안 많이 쌓여 왔다. 널리 알려진 사례로, 수컷 동물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신약이 여성들에게 효과가 더 낮거나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지적이 1990년대부터 제기됐다. 2014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실험에서 동물과 세포를 쓰는 모든 전임상 연구에서 양성 균형을 맞추도록 지침을 공고한 바 있다.

자동차 충돌 실험에 남자 인체 모형만 쓰다 보니 실제 사고에서 목뼈를 다칠 위험이 남자보다 여자가 2배 높다는 분석도 있었고, 이후에 충돌 실험에 여자·임신부의 인체 모형을 쓰는 자동차회사도 생겨났다. 기계번역에선 남성 위주의 언어 번역이 나타난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개선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통증 메커니즘에도 남녀 차이가 있다는 연구도 있어 통증의 성별 차이 연구도 불가피해졌다. 젠더 분석은 사회문화적인 성별 차이가 중요한 의생물학, 보건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조된다.

백 센터장은 “최근엔 통증 실험에서 연구자 성별에 따라 실험동물이 다른 영향을 받는다는 캐나다 맥길대학의 연구도 있었다”며 “실험 대상을 대하는 연구자 자체에도 양성 균형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철우 선임기자 cheolwoo@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 페이스북]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