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SKT컨콜] 통신비 인하, 수익성에 심각한 영향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이 통신사 수익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됐다. 이동통신 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투자축소 등 통신산업은 물론, 국가 성장산업에도 부담을 초래할 것으로 분석했다.

SK텔레콤은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17년 2분기 매출 4조3456억원, 영업이익 4233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1.8%, 영업익도 3.9% 증가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상승 영향으로 무려 113.2%나 늘어난 6205억원을 기록했다.

나름 선방한 것처럼 보이지만 별도기준으로 좁혀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0.6% 늘어난 3조1096억원, 영업이익은 3.3% 감소한 4623억원에 머물렀다. 주력 사업인 이동전화 부문의 수익은 2조721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7% 성장에 그쳤다. 선택약정할인 고객 증가로 수익은 감소하고 마케팅 비용 증가로 매출은 정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전망은 더 암울하다.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이 수익성 악화를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도 정부의 통신비 인하정책에 따른 실적악화 우려에 대한 질문이 집중됐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유영상 전략기획부문장은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은 사업자 수익을 심하게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성장 사업, 5G 투자 축소 등 통신산업의 전체 펀더멘탈과 국가 성장산업에도 일정부분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유 부문장은 "또한 유통망 장비업체,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 등 ICT 생태계 전체 경쟁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동전화 품질 저하로 이용자 편익훼손 등 다양한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SK텔레콤은 정부와 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는 한편, 법적대응도 고려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비용절감을 위한 대안으로 꼽힌 단말기완전자급제 도입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상헌 CR 전략실장은 "요금인하와 투자지속의 구조 하에서 완전자급제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아직 정해진 것이 없으며 단통법을 포함해 이통시장 규제, ICT 생태계 이해관계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분리공시 도입에 대해서도 "단통법 초기 논의된 이슈로 시장구조가 바뀐 현 상황에서는 의미가 다소 바뀌지 않았나 싶다"며 "제조사가 공시지원금 대신 유통장려금 확대 가능성, 이용자 혜택 줄고 제조사 장려금 중심의 시장과열 우려 있는 만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정부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통한 보편요금제 도입에 대해서도 우려의 뜻을 나타냈다.

이상헌 실장은 "정부가 요금제를 신설하게 될 경우 나머지 구간도 정부의 기준에 따라 맞출 수 밖에 없다"며 "사업자는 사실상 요금설정 자율권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싼 가계통신비가 단말기 할부금을 요금고지서에 같이 과금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신요금을 명확히 인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소비자 불편도 고려해야 한다"며 "현시점에서 여러 대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확정적으로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SK텔레콤은 취약계층 요금감면 확대에 대해서도 정부와 상의를 통해 분담 주체를 명확히 하겠다는 뜻도 피력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