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중소기업 글로벌화 중심 새 산업성장 전략 펼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역협회 '수출지원' 토론회 수출지원제도 개선 시급 지적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와 중소기업연구원이 20일 서울 영동대로 트레이드타워에서 공동 개최한 '중소중견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 토론회에서 김정관 무협 부회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약화되는 우리나라 산업경쟁력의 대안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수출지원제도 전반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무역협회가 20일 중소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 영동대로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한 '중소중견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 토론회에서는 업계, 정부, 학계, 연구기관 등 전문가 100여명이 모여 열띤 토론이 이뤄졌다.

김정관 무협 부회장은 "최근 우리 수출은 지난 5년간 부진을 딛고 회복세로 돌아선 상황으로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견인한 바 크다"며 "더 많은 중소기업을 일자리와 혁신 창출의 주역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정부 관련 부처의 긴밀한 협력 아래 우리 수출지원정책이 업계의 빠른 수요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참여 비중은 2012년 32.1%에서 2016년 37.5%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로봇, 바이오헬스 등 신성장산업 수출액에서 중소.중견기업의 비중은 48.4%에 달한다. 다만, 지난해 14개 정부 부처가 215개 수출 사업을 대상으로 6642억 원의 예산을 지원했음에도 여전히 중소기업의 실제 수요와는 괴리가 있는 실정이다.

안근배 무협 무역정책지원본부장은 "지난 4월 수출기업 대상 수출지원제도 관련 의견을 조사한 결과, 수출 초보 기업들은 우리 회사의 실정에 맞는 수출지원제도가 무엇인지 알기 어렵고 항상 수혜를 받는 기업만 반복해서 받는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수출지원제도의 채널을 일원화하고 수혜받는 기업의 이력을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 본부장은 "아울러 수요기업의 업력, 마케팅 능력, 산업별 특성 등을 배려하기 위해 수출지원 바우처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산하고 서비스업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수출지원제도 등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를 통한 성장사다리 구축,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의 글로벌 연구개발(R&D) 혁신 촉진, 전자상거래 창업 활성화 등이 집중 논의됐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