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양심적 병역 거부' 논의 16년…여전히 감옥 가는 청년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2001년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된 지 16년이 지났습니다. 종교나 신념 때문에 군 입대를 거부하고 현재 감옥에 있는 청년들이 397명에 이릅니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가 나서서 국방부에 대체 복무 제도 도입을 권고했습니다.

먼저 강버들 기자가 몇몇 사례를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오태양 씨는 2001년 12월 입대를 거부하고 대체 복무 제도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특정 종교가 아닌 평화적 신념에 따른 첫 병역 거부였습니다.

그 뒤로 16년, 여전히 많은 청년들은 현실적 불이익과 편견을 감수하고 감옥행을 택하고 있습니다.

김진만 씨는 2014년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현장에서 병역 거부 의사를 굳혔습니다.

시민들에 대한 국가 폭력을 경험하면서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김진만/지난 4월 수감 : '그래도 남자는 군대에 가야 하지 않느냐, 너 혼자 그런다고 바뀌겠느냐' 그런 질문들이 상처가 될 때도 있고요.]

고민이 깊었지만, 신념을 지키고 결국 수감됐습니다.

[김진만/지난 4월 수감 : 역사를 아주 좋아해서 국사 선생님이 되는 걸 장래 희망으로 삼고 있었고…공직에 취업하는 것은 마음을 접은 상태…]

10여 년 전 같은 선택을 한 임재성 변호사는 병역 기피와 병역 거부가 다르다고 말합니다.

[임재성/변호사 (2005년 수감) : 신념을 지킬 수 있는 다른 방식으로 의무를 수행하겠다는 것이거든요. 군대보다 큰 불이익을 기꺼이 감수한다는 사람을 꼭 감옥에 보내야 하느냐…]

지난해 성인 10명 중 7명이 대체 복무제 도입에 찬성했고 국제 사회의 권고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2008년 제도 도입 검토를 중단한 정부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강버들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