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저녁형 인간, '회복 탄력성'에 따라 삶의 질 달라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윤인영 교수
'저녁형 크로노타입'은 '회복 탄력성'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은 자신이 선호하는 활동 시간에 따라 아침형 · 중간형 · 저녁형으로 나뉜다. 이를 크로노타입(Chronotype) 이라고 한다. 즉,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 아침형으로 분류되며 반대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 저녁형으로 분류된다. 세 가지 타입 중 아침형과 저녁형 사이에 해당하는 중간형이 가장 많고, 아침형이 가장 적다고 알려져 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수면센터 윤인영 교수와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 연구팀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직원 1794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신체 피로, 우울, 불안, 삶의 질을 평가했다고 28일 밝혔다. 그 결과, 저녁형 크로노타입이 수면의 질에는 상당한 수준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그 외 신체 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에는 회복 탄력성의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드러났다.

크로노타입은 개인의 고유한 특성으로 상황에 의하여 급격하게 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차 아침형 경향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 저녁형 크로노타입을 가진 경우 통상적인 사회적 리듬과의 불일치로 인해 아침형 크로노타입 보유자보다 수면의 질이 불량하고, 우울과 불안 등 정서적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 삶의 질이 낮고 알코올과 담배의 사용 등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연구결과 '저녁형 크로노타입'이 실제 개인의 신체 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회복 탄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 탄력성이란 최근 정신의학부터 심리학, 교육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으로 부정적이거나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는 개인의 역량을 의미한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수면센터 윤인영 교수는 "보통 '올빼미형 인간'으로 불리는 저녁형 인간인 경우 사회생활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피로나 우울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해도 이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며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저녁형 크로노타입 보유자라도 큰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즉각적인 변화가 어려운 크로노타입과 달리 회복 탄력성은 환경과 생활 습관, 다양한 심리 치료 프로그램 등에 의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리듬과 개인의 크로노타입이 불일치하는 경우 회복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SCI급 국제 학술지인 '시간 생물학(Chronobiology International)' 최근호에 게재됐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