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소순명 의원 "市, 혈세낭비 중앙분리대, 시민 안전 뒷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주=국제뉴스) 이승희 기자 = 소순명 의원(삼천 1ㆍ2ㆍ3동 효자 1ㆍ2동)이 27일 열린 전주시의회 제341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한옥마을 기린대로 중앙분리대 대나무 휀스 시범사업 사례에 대해 혈세낭비”라며 시민 안전은 뒷전이라고 전주시를 질타했다.

현재 한옥마을 주변 기린대로에는 화단형 중앙분리대 340m 구간에 무단횡단금지용 대나무 휀스가 설치되어 있다.

소순명 의원은 “이 구간은 지난 2015년 12월경 기존 노후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무단횡단 방지 휀스를 총사업비 6천5백만 정도를 들여 디자인 울타리 합성목재 휀스로 교체하는 사업이 우선 진행되었다”며,

“이후 2016년 6월경 6개월도 안 된 현 구간에 다시 4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현 중앙분리대 대나무 휀스 시범 설치사업을 추진해다”고 소개했다.

소 의원은 이에 대해 “기존 교체된 휀스 역시 합성 목재 휀스로서 충분히 화단형 중앙분리대에 미관상 저해요인이 없음에도 대나무 재질의 무단횡단 방지시설이 설치된 것”이라며 “이 사업이 지극히 비효율적인 혈세 낭비 사업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소 의원은 “고유의 안전성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도로안전시설을 불과 6개월도 안 된 표준규격에 맞는 멀쩡한 중앙분리대를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한옥마을 진입도로라는 이유로 무작정 대나무 휀스로 바꾼 점은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느다”며

“현재의 무단횡단 방지용 대나무 휀스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지침을 전혀 충족하지 못하는 것이다”는 주장이다.

소 의원은 “현재 이곳 대나무 휀스는 나무 재질 특성상 대부분 색깔들이 발해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나무 중앙분리대 휀스가 방치된 현 상황에서 전주역 첫마중길 사업으로 도시의 첫 이미지를 높이고자 노력했던 전주시가 과연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느가 물으며 이를 따져 물었다.

소 의원은 "도로안전시설은 그 목적성에 준하는 시민의 안전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며 "다시금 중앙분리대 설치 및 관리 시책이 외형에 치우치는 보여주기 식 사업으로 변모한다면, 시민혈세를 낭비했던 한옥마을 대나무 휀스 사례를 반복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소순명 의원은 "한옥마을 무단횡단금지 대나무 휀스의 즉각적인 보수 조치를 우선 촉구하며, 경관 조성의 목적보다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시 될 수 있도록 현재 전주시 무단횡단금지 안전 휀스의 전반적인 점검 및 유지 관리를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