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국민의 기업] 자율주행자동차 전방위 연구 통해 교통 분야 4차 산업혁명 선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전기준 만들고 시험도로 지원

화성에 전용 실험도시 내년 완공

교통안전공단

중앙일보

교통안전공단 오영태 이사장(왼쪽 둘째)이 지난해 9월 21일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 예정 부지를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교통안전공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이 자율주행자동차 연구를 통해 교통 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먼 미래기술로 인식됐지만 최근 관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2020년부터는 레벨 3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급가속·급정지 등을 줄여 연비 향상과 배출가스 저감 등 부가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공단은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에 대비해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기준 및 평가기술, 자율주행자동차의 노후화로 인한 성능 저하 등을 확인하는 검사제도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UN 등 국제회의에 참석해 자율주행자동차의 국제안전기준 제정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 약 36만㎡의 시험도로를 자율주행자동차 연구를 위해 대학에 무상 제공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시험이 필수적이다. 이에 공단은 보유하고 있는 일반 도로와 유사한 환경의 시험도로에서 여러 위험 상황을 가정한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4월부터는 ‘자율주행의 날(자율주행DAY)’을 만들어 공단의 연구 및 시험 시설을 민간에 개방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공단은 경기도 화성에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K-City)’를 구축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까지 고속전용도로구간을, 내년 하반기까지 전체 구간을 단계별로 준공할 예정이다. K-City는 국내 최대 규모(약 36만㎡, 현 ITS시험로)의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도로 및 교통환경과 평가시스템을 갖춘다. 연구자가 통제하기 어려운 실제 도로환경과 달리 특정한 조건을 설정하고 반복재현시험이 가능하다. 다양한 사고위험 상황 등 연구자가 필요한 조건을 안전하게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 및 평가 시설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안전공단은 K-City 구축에 대표적인 실험도시인 미국 M-City의 장점을 살리면서 신호등·교차로·빌딩·터널 등 국내 도로환경을 면밀히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버스전용차로·스쿨존 ·자율주차시설·톨게이트·소음방지벽 등 국내 도로교통환경을 반영한 시설을 추가 구축한다는 점에서 M-City에 비해 앞선다고 할 수 있다. M-City는 미시건 대학 부지 내에 구축돼 평가 내용이 한정적일 수 있다. 이에 비해 K-City는 현재 구축 예정지에서의 평가뿐 아니라 204만6000㎡ 규모의 종합 주행시험장에서 주행시험 관련 모든 항목을 연속 평가할 수 있도록 향후 확장 평가 계획을 갖고 있다.

김승수 객원기자 kim.seungsoo@joongang.co.kr

김승수 기자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