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신고리 5·6 호기 공사 중단… 주민·환경단체 엇갈린 반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주민 “건설 백지화로 경제 피해 우려” / 환경단체 “탈핵으로 가는 첫 발걸음 뗐다” / 5월말 기준 공정률 28.8% / 시공업체, 향후 절차에 촉각 / 협력사 “3개월 일감 끊겨” 불만

정부의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 일시 중단 발표는 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인 탈원전 정책을 가속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울산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의 반응이 엇갈리면서 신고리원전 5·6호기 완전 중단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원전이 들어설 서생지역 주민들은 이번 건설 일시중단이 원전 건설 백지화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이상대 서생면주민협의회장은 27일 “(일시중단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며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되면 지역 주민 전체가 손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조만간 주민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탈원전을 주장했던 환경단체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김형근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이 탈핵으로 가는 현 정부의 첫 번째 실천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향후 공론화위원회 구성과정을 지켜본 뒤 시민들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 공사를 진행한 시공업체들은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5·6호기 건설은 삼성물산과 두산중공업, 한화건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했다.

이들 건설사 외에 협력사까지 합하면 수백개의 업체가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집행된 공사비는 1조6000억원이다. 이들 업체는 “공청회 진행 상황을 지켜보고 향후 절차를 한수원과 협의해 진행하겠다”는 입장 이외에는 말을 아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불만과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당장 공사가 일시중단되는 3개월간 공사 인력들은 일손을 놓아야 하고, 공사와 관련된 무수한 협력업체들은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이번 결정이 원전 건설 중단 및 백지화 추진의 신호탄이 된다면 건설업계의 타격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원전 공사가 일시 중단되는 최대 3개월간 설문조사와 TV 토론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한다. 이어 시민배심원단이 공사를 영구 중단할지 아니면 재개할지 최종판단을 내린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