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재롱' 휴대전화로 실시간 감상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의 모습을 휴대전화로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게 된다.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관리공단은 31일부터 백령도 물범바위에서 휴식 중인 점박이물범을 휴대전화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영상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경향신문

백령도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드러운 털과 순한 눈매 등으로 인기가 높은 점박이물범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의 마스코트로 활약한 바 있다.

점박이물범은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해양 포유동물이다. 겨울에는 중국 랴오둥(遼東)만의 유빙 위에서 새끼를 출산하고 해빙이 시작되는 3월에 우리나라를 찾아온다.

경향신문

백령도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로 이동한 점박이물범은 3월에서 11월까지 백령도 인근에서 주로 머무른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8월에는 백령도에서 190여 마리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해수부 등은 물범이 주로 휴식을 즐기는 백령도 물범바위 연안에 고해상도 카메라를 설치한 뒤 휴대전화 앱인 ‘마린통(通)’에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경향신문

점박이물범이 바다 위에 머리를 내놓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린통(通)은 해양생물정보를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해양수산부가 제작,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휴대전화 앱이다.

해수부 등은 이 영상서비스를 바다의 날인 31일부터 시범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며,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거쳐 6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 영상 서비스는 점박이물범이 백령도에 머무르는 3월부터 11월까지 오전 6시~오후 6시까지 낮시간에 제공된다.

경향신문

백령도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점박이물범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점박이물범.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