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창업·투자서 자금회수까지…中企벤처부를 원스톱센터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제2 벤처창업 붐 / 매경 명예기자 리포트 ◆

매일경제

카카오는 지난해 기업 인수·합병(M&A) 비용만 1조9036억원을 썼다. 2015년 2274억원을 투자한 것에 비해 1년 새 8배 넘게 투자 규모를 늘렸다.

일부 대기업이 카페나 외식 프랜차이즈까지 손을 대는 것과 달리 카카오는 인터넷과 정보기술(IT) 관련 신생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콘텐츠·연예기획사를 비롯해 인터넷게임 업체, 빅데이터 분석 업체 등 카카오 모회사를 중심으로 60여 개 신사업 군단을 형성하면서 확대하는 모양새다.

카카오는 지난해에 인수뿐 아니라 258억원의 지분 투자도 실시했다. 이는 2015년 201억원보다 30%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카카오의 지난해 매출액이 1조4642억원인 것에 비춰보면 유망 벤처기업 인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게 엿보인다.

카카오는 스스로 신사업 관련 분야 기술개발을 못해서 매출을 넘어서는 돈을 투자해 기업들을 인수한 게 아니다. 그간 일부 대기업들이 중소·벤처기업의 신사업 진출로 시장이 커지면 뒤늦게 뛰어들면서 막대한 물량공세를 퍼붓거나 기술 탈취로 시장을 독과점한 것과는 사뭇 다른 정책적 선택이다. 기술력을 갖췄으면서도 M&A, 지분 투자 등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는 벤처기업의 혁신가치를 인정하고 시장을 적시에 함께 키우는 전략을 스스로 택한 게 의미가 크다.

벤처 전문가들은 최근 불고 있는 벤처기업 2차 창업 붐이 '데스밸리'(창업 3~7년차 죽음의 계곡)를 넘어 수출과 일자리 창출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카카오 같은 기업이 늘어나야 한다고 지적한다. 해외에서도 기업과 벤처 투자가 몰려오도록 대한민국을 창업·M&A 허브로 구축하는 것도 필수다.

그러려면 몇 가지 해야 할 일이 있다. 우선 초대 중기벤처부(가칭)를 창업에서 투자는 물론 육성·M&A·자금 회수까지 모든 과정을 총괄하는 전담 조직으로 키워야 한다. 벤처기업의 기술인증과 보호에 앞장서고 대기업이나 투자자·해외기업들이 앞다퉈 국내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토양을 조성하는 게 시급하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연대보증 폐지엔 진전이 있지만 인재 유치를 위한 벤처 스톡옵션 비과세 부활이나 벤처기업 M&A 주식양도세 면제 등 벤처 활성화 대책은 아직 미진하다. 벤처기업 3만 시대에 창업 확대와 함께 글로벌 히든챔피언을 키우고, 수출·청년 일자리 창출을 이끌려면 기술벤처에 과감한 혜택을 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

특히 중기벤처부의 리더로는 혁신기술 창업·육성·M&A 등을 주도할 기업현장 디테일에 강한 인물을 세워야 한다. 그래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 / 도움 =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