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전국 최초 대전시·대전 유성구, 원자력시설 안전점검 주체로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전시·유성구·원자력硏, 22일 '원자력 안전 협약' 체결

그간 사용후핵연료 반입·방폐물 무단 폐기 등 불신 초래

지자체에 감시권한 부여…소통·협력을 위한 시스템 구축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대전시와 대전 유성구가 관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주체로 나선다.

대전시는 22일 권선택 대전시장과 허태정 유성구청장,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 안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대전시와 유성구는 원자력 시설에 대한 감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협약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이들 지자체에 원자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안전대책 사전협의,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 구성 등 지속적인 소통·협력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그간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7년 2.7㎏의 우라늄 분실사건을 시작으로 지난해부터 사용후핵연료(1699봉) 무단 반입, 파이로프로세싱 안전성 문제, 하나로 내진보강공사 부실 의혹, 방사성폐기물 무단 폐기 등 크고 작은 안전 문제를 야기하면서 범시민적 불신과 불안의 주범으로 지목받았다.

이에 대전시는 지난 1월 원자력 전담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3월 시민검증단 출범, 4월 원자력안전 조례 제정·시행 등으로 시민 안전을 위한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력했다.

대전시는 앞으로 ‘원자력시설 안전성 시민검증단’ 활동을 본격화하는 한편 ‘원자력 안전성 강화 범시민협의회’를 구성해 원자력시설에 대한 지자체 감시 권한 부여와 시민감시 제도화, 주변지역 지원책 마련 등 범시민 대책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권 시장은 “원자력 안전에 대한 공통의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시민 안전 확보와 환경보전에 최선을 다하고, 상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안전한 원자력시설 운영과 연구개발을 지향하는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환경단체들이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방사성폐기물의 무단 폐기 등을 규탄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대전환경운동연합 제공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