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피해국 100개국 육박' 랜섬웨어 공격, 美NSA 개발 툴이 발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BN



일부 정부기관과 병원, 기업 등의 업무가 마비되거나 차질이 빚어지는 등 지금까지 집계된 피해만 99개국, 7만5천 건이 넘는다고 보안업체 어베스트는 집계했습니다. 추가 피해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 영국, 우크라이나, 대만 등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됐습니다.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내무부 대변인은 내무부 컴퓨터 약 1천 대가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언론은 수사기관들도 공격당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이동통신업체 메가폰의 대변인도 자사 컴퓨터들도 상당수가 이번 공격으로 작동을 멈췄으며 콜센터 기능은 가까스로 복구했으나 대부분 사무실은 문을 닫아야 했다고 밝혔습니다.

영국에서는 국민보건서비스(NHS·한국의 건강보험공단과 유사한 조직) 산하 40여 개 병원이 환자 기록 파일을 열지 못하는 등 진료에 차질을 빚거나 예약을 취소했습니다.

중국 신화통신은 중국 내 일부 중학교와 대학교가 공격을 당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유사한 감염 징후가 나타났습니다. 해당 병원은 "아직 피해 사례는 없다"면서도 "유관부서가 비상근무를 하며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업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미국 운송업체 페덱스는 자사 컴퓨터의 윈도 운영체제에 악성 소프트웨어 감염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다면서 최대한 신속하게 복구하려 노력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프랑스 자동차 제조업체 르노 대변인도 "이번 공격으로 영향을 받았다"면서 "지난밤부터 공격에 대응하는 등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범죄조직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이번 사태는 악성 프로그램의 일종인 '랜섬웨어'(Ransomware)에 감염된 컴퓨터들이 작동을 멈추면서 빚어졌습니다.

랜섬웨어는 중요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 랜섬웨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포되는 워너크립트(WannaCrypt), 일명 워너크라이(WannaCry)의 변종으로 알려졌습니다.

워너크립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파고드는 네트워크웜(worm·자기 자신을 복제하면서 통신망으로 확산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입니다. 첨부 파일을 열지 않더라도 인터넷에 연결만 돼 있다면 감염되는 방식으로 급속히 퍼집니다.

보안업계는 지난해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개발한 해킹 툴을 훔쳤다고 주장한 해커단체 '섀도 브로커스'(Shadow Brokers)의 소행으로 보고 있습니다.

영국 서리대학의 앨런 우드워드 교수는 "이번 랜섬웨어는 미국 정보기관들에서 유출된, MS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해킹도구가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NSA의 전방위 도청·사찰 의혹을 폭로했던 에드워드 스노든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NSA에 비난의 화살을 돌렸습니다.

스노든은 트위터에 "NSA 당국이 실기하지 않고 병원 공격에 사용된 결함을 '알아차렸을 때' 이를 공개했더라면, 이번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 국토안보부는 성명을 통해 컴퓨터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라고 촉구하는 한편 "관련 정보를 적극 공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파트너들에게 필요한 기술 지원과 도움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