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기고]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혁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최근 신문에 거의 매일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4차 산업혁명이다. 사회현상이나 혁신이론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혁명’이란 단어는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패러다임이 바뀌는 수준의 메가톤급 변화에 ‘혁명’이라는 말을 붙인다. 과학철학의 한 획을 그은 토마스 쿤은 이러한 혁명적 변화를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가치관 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지구 중심의 우주관이 태양 중심의 우주관으로 바뀌는 정도는 되어야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무엇에 관한 혁명적 변화일까? 4차 산업혁명의 시작을 널리 알린 2016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은 생산방식의 혁명뿐만이 아니라 사회전반에서 기존 사고방식의 틀을 깨뜨리는 파괴적 혁신 현상’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초연결, 블록체인이 있다고 선언했다.

4차 산업혁명은 세상의 모든 것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가 특징이다. 블록체인은 그 연결에 신뢰를 부여해주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초연결, 블록체인 이 모두 중요하지만 특히 블록체인이 부여하는 온라인 세상에서의 신뢰가 없다면 4차 산업혁명은 성공하기 쉽지 않다.

블록체인이 가져올 혁명적 변화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거래’라는 관점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A와 B가 1000원을 주고받는 거래의 경우 실물 화폐를 통하면 1000원권 화폐를 주고받으면 거래가 끝난다. 그러나 온라인에서는 주고 받는 실체가 없다. 정보만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뿐이다. 온라인 상에서는 A의 1000원이 B에게 이동했다는 거래정보와 B가 A로부터 1000원을 받았다는 거래정보에다 A와 B 그리고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이 동의하면 거래가 완성된다. 즉 거래이력정보에 대한 참여자들의 동의가 핵심이다.

둘째는 ‘공개를 통한 보안’이다. 지금까지 실물화폐의 거래에서는 한국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이나 제3의 기관이 독점적으로 관리하거나 거래를 증명했다. 하지만 중앙집중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해킹이나 범죄적 공격에 따른 취약성이 번번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거래정보를 ‘폐쇄’에서 ‘공개’로 전환시켜 이를 해결했다. 거래정보이력을 특정인이 아닌 모든 참여자에게 공유토록 해 온라인상에서의 새로운 신뢰개념을 탄생시킨 것이다. 부당한 목적으로 거래이력을 조작하거나 이중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이력들이 쌓여져 있는 중간 블록을 바꾸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거래이력 블록이 형성되기 이전에 공유된 모든 거래이력 블록의 정보를 바꿔야 하는데 이는 전 세계 컴퓨팅 파워의 50% 이상을 독점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블록체인의 혁명성에 기반한 사회변화는 이미 전 세계에서 시작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2015년 블록체인 전자시민증을 도입했고앞으로 결혼, 출생과 각종 계약을 공증하는 신원증명 서비스로 블록체인 기술을 확대할 예정이다. 스웨덴은 토지 등기부의 블록체인 계약을 시범 운영중이다. 온두라스는 부동산 등기를 블록체인 방식으로 바꿔 조작 가능성을 배제했다. 두바이는 2020년까지 모든 공문서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키로 했다. 중국은 세금 징수와 복지기금 지불시 블록체인을 활용키로 했다.

한국조폐공사(KOMSCO) 역시 온라인상에서의 신뢰 혁명과 그 확장성 때문에 블록체인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차원에서 온라인 신뢰보안 서비스인 TSM(trust service manager)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공공 신뢰 플랫폼’을 올 상반기를 목표로 개발중이다. 대한민국은 늘 그래왔듯 또 한번의 혁명적 변화에서도 답을 찾아내고 세계를 선도할 것이다. 조폐공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서 ‘공공 신뢰 플랫폼’이란 해답을 찾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가고자 한다.

김화동 한국조폐공사 사장

김화동 한국조폐공사 사장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