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매케인 "대북 군사행동 배제해선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드시 마지막 선택지" 전제조건 달아

"서울이 사정권" 현실적 어려움도 토로

중앙일보

존 매케인 미 상원 군사위원장.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존 매케인(공화·애리조나) 미국 상원 군사위원장이 북한에 대한 군사 행동 옵션을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27일(현지시간) CBS방송 인터뷰에서 그는 “북한에 대한 군사행동이 임박하진 않았지만, 테이블에서 내려놓아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핵 해체를 위한 최고의 압박과 협상’을 골자로 한 새로운 대북정책을 발표한 직후의 발언이다.

그러나 매케인 위원장은 “(군사행동은) 반드시 마지막 선택지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북 군사행동의 시점에 대해선 “북한이 미 서부 해안을 공격할 수 있는 핵미사일 발사 능력을 갖췄다고 확신할 때” 라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비무장 지대를 따라 있는 (북한의 장사정포가) 서울을 사정권으로 하고 있어 일이 극적으로 복잡해질 수 있다”며 군사행동의 현실적 어려움을 지적했다.

매케인 위원장은 “군사행동이 시작되면 북한이 서울을 겨냥하게 될 것이고, 재앙이 시작될 것”이라며 “중국은 이것이 미·중 관계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군사행동 전에 중국이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26일 상원의원 전원을 백악관으로 불러 새 대북정책에 대해 브리핑 했다. 브리핑 후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댄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합동성명을 냈다. 외교·안보·정보 수장의 합동 성명은 초유의 일이다. 이날 성명에선 ‘군사행동’을 의미하는 표현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날 열린 미 하원 군사위 청문회에서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사령관은 “북한은 미국과 동맹국 안보에 가장 임박한 위협”이라며 “우리는 수많은 선제 타격 옵션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