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깜짝 실적’에 주가도 상승… 우리은행, 정부 잔여지분도 털어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적자금 회수 가능 주가수준 넘어

이광구 행장, 해외 투자자도 물색

매각 대상ㆍ방식이 관건

일각선 “정부 급할 게 없다” 평가도
한국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민간 과점주주들에게 지배지분을 넘기며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이 남은 정부지분까지 매각해 조기에 ‘완전한 민영화’를 이룰 수 있을지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엔 영업실적 호전에다 주가까지 오름세를 타 기대감이 더욱 커지는 상황인데, 관건은 최적의 매각 방법과 대상을 찾는 게 될 전망이다.

27일 우리은행 주가는 1만4,9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작년 말 과점주주들에게 주식을 넘겼던 평균 매각가격(주당 1만1,750원)보다 3,000원 이상 치솟은 상태다. 올 1분기 ‘깜짝 실적’(순이익 6,375억원)이 과점주주 경영 체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걷어내면서 최근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실적 향상과 주가 상승이 겹치면서 “지금이 남은 정부지분을 시장에 매각할 호기”라는 분석도 공공연하게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그간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총 12조7,663억원)의 83.4%(약 10조6,471억원)를 회수했는데, 남은 지분(예금보험공사 보유 21.37%)으로 따지면 주당 약 1만4,300원 이상에서 팔아야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다. 앞서 정부가 “예보 보유 잔여지분은 공적자금 회수 측면을 고려해 빠른 시일 안에 매각하겠다”고 밝힌 점을 감안하면, 이미 가격 측면의 매각 여건은 갖춰진 셈이다. 최근 이광구 행장이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 지역 기업설명회(IR)에 나선 것도 민영화 완성을 위한 투자자 물색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가격 외에도 따질 게 많다는 점이 고민이다. 정부와 우리은행 모두 현재의 과점주주 체제는 흔들지 않기를 원한다. 가격만 우선해 매각할 경우, 자칫 현 과점주주(지분율 4~6%)보다 높은 지분의 주주가 생길 수도 있어 매각 대상부터 잘 물색해야 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과점주주 경영에 변화가 없도록 적절한 재무적투자자(FI)를 찾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일각에선 당장 묘수를 찾지 못하면 정부의 잔여지분 매각이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미래 가치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여서 정부로서는 급할 게 없다”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명분으로 되레 잔여지분을 들고 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내다봤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