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지난해 국내 해외환자 전년대비 23%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환자가 전년대비 23% 증가했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실환자 기준으로 2015년 대비 23% 증가한 36만4000명, 해외환자를 유치한 2009년 이후 누적 환자 156만명에 이르렀다고 27일 밝혔다.

진료수입은 총 8606억원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했고 2009년 이후 총 3조원을 누적 달성했다.

환자는 중국, 미국, 일본, 러시아, 카자흐스탄 순으로 많았고, 동남아 및 중동 환자도 증가했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한한령의 영향을 받기 전까지 환자가 급증했다. 이에 지난 2015년 대비 29% 증가한 12만7000명으로 성형외과, 내과, 피부과, 건강검진, 정형외과 순으로 많이 찾았다. 특히 성형외과의 비중이 23.8%에서 20%로 줄어들었고 산부인과 ·정형외과 등이 증가했다.

일본은 엔화 강세, 방한 관광객 증가 등으로 2015년 대비 41% 증가한 2만7000명이었고 피부과가 4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CIS 국가의 경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각각 1만5000명(19%), 4000명(56%)이 한국을 찾았으며 종양, 소화기 질환 등 내과를 가장 많이 찾았다.

동남아는 경제 성장률이 높은 베트남이 64% 증가한 8700명이 한국을 찾았고 내과, 산부인과 환자가 많았다.

중동 환자는 19% 늘어난 7200명으로 내과, 피부과, 성형외과 순이었고 정부간 송출 환자를 포함한 아랍에미리트(UAE) 환자는 20% 늘어난 3500명이 방문했다.

진료수입은 2016년 총 8606억원으로 전년(6694억원) 대비 29% 증가했으며, 전체 외국인환자의 1인당 평균진료비는 236만원으로 전년(225만원)대비 5.0% 증가했다.

국적별 1인당 평균진료비는 UAE환자가 1194만원으로 가장 높고, 태국 524만원, 카자흐스탄 417만원, 인도네시아 398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평균진료비 1억원 이상 고액 환자도 284명을 기록했다.

진료과는 내과통합 진료가 8500명으로 전체 중 2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성형외과 4800명(11%), 피부과 4700명(11%) 순이었다.

과별로 살펴보면 피부과는 일본 환자의 증가,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등 영향으로 전년대비 48%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산부인과는 러시아, 몽골 등에서 불임치료에 대한 수요로 전년대비 22% 증가한 2만 3000명을 유치했으며, 한방도 전년대비 36% 증가한 1만8000명의 외국인 환자가 찾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외국인환자의 59%인 21만6000명을 유치해 가장 많았으나,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중은 전년대비 2%p 감소하며 수도권 집중현상이 다소 완화됐다.

특히 경북과 대구, 제주가 각각 전년 대비 88%, 63%, 46% 증가해 지방의 외국인환자 유치 노력이 성과를 거뒀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는 유치국가 및 진료과목의 다변화, 진료수입 증가, 병·의원급으로의 확대, 비수도권 지역의 유치 활성화 등 질적 성장을 위한 내실을 다지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며 "외국인 환자 유치는 항공, 숙박, 쇼핑, 관광 등 연관 산업의 수익 창출로 이어지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올해도 우수 유치의료기관을 평가·지정해 외국인환자의 안전과 신뢰도를 제고하고, 평창 동계올림픽,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국제 행사 등과 연계해 외국인환자 유치를 다방면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