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북핵 책임론·전술핵 격론...안보 이슈 팽팽한 대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19대 대통령 선거가 중반으로 접어드는 가운데 어젯밤 4차 TV 토론회가 진행됐습니다.

토론회 최대 쟁점은 역시 안보 이슈였는데요.

특히 북핵 위기 책임론과 전술핵 재배치 문제 등을 놓고 각 후보가 팽팽히 맞섰습니다.

먼저 안윤학 기자입니다.

[기자]
보수 진영을 가짜 안보 세력으로 규정한 민주당 문재인·정의당 심상정 후보.

현재의 북핵 위기는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안보 무능에서 비롯됐다며,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환수와 남북평화협정, 균형외교 등을 대안으로 내놨습니다.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 사드 문제도 우리가 한미동맹을 굳건하게 지켜내면서 또 중국과의 관계도 훼손하지 않는 균형된 외교 역량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맞서 자유한국당 홍준표·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북한으로 흘러간 돈이 핵 개발의 종잣돈이 됐다고 맞받았습니다.

북핵 위협 대비책으로 주한미군의 전술핵 재배치를 한목소리로 주장했습니다.

[홍준표 /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 : 미국의 전술핵을 도입해서 남북 핵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 핵을 도입해서 북핵이 제거될 때 같이 빠져나가면 되는 겁니다.]

[유승민 / 바른정당 대통령 후보 : 북한이 우리한테 핵 공격하면 자기가 반드시 바로 즉각 핵 공격을 당한다는 그런 두려움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문재인·심상정 후보는 미국도 반대하는 현실성이 없는 대책이라며 반기를 들었습니다.

[심상정 / 정의당 대통령 후보 : 북한의 핵은 전략핵인데 전술핵을 갖고 공포의 균형을 이야기하세요. 기본적인 이해 자체가 안 돼 있는 것 아닙니까?]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전시작전통제권은 우리가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뒤에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미세먼지 문제를 안보 개념에 포함해 중국과의 외교를 통해 해결하겠다며 차별화를 시도했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당 대통령 후보 : 안보와 경제, 그렇게 큰 두 축으로 정상회담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부터는 환경 이슈도 세 번째 큰 축으로 놓고….]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인 KAMD와 킬 체인 구축이 지체된 책임을 놓고서도 후보들 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YTN 안윤학[yhahn@ytn.co.kr]입니다.

▶뉴스 덕후들의 YTN페이스북

▶"대한민국을 구할 대통령을 찾아라" 2017 대선! 안드로메다

[저작권자(c) YTN(Yes! Top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