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총기청정국가?' 국내 총기사고로 5년간 29명 사망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2~2016년 총기사고 64건 발생, 부상자는 46명]

머니투데이

경북 경산의 한 농협에 권총 강도가 나타나는 등 한국이 더 이상 총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총기사고는 64건 발생했고 관련 사망자는 29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에는 서울 중랑구 묵동 주택가에서 유모씨(46·여)가 대낮에 같은 산악회 회원이던 조모씨(39·여)의 허벅지를 사냥용 엽총으로 쐈다. 경찰서에 보관 중이던 수렵용 엽총을 찾아 실탄 3발을 발사한 것이다. 총격을 당한 조씨는 약 112일간 치료가 필요한 중상을 당했다.

지난해 10월19일 오후 서울 강북구 오패산터널 인근에서는 경찰관이 사제총기에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 성병대씨(47)는 사제 총으로 부동산 업자 이모씨(68)를 살해하려다 행인 이모씨(72)에게 총상을 입혔다. 이어 현장에 출동한 고(故) 김창호 경감(54)의 등에 총을 쏴 김 경감을 숨지게 했다.

2015년 성탄절에는 대전 유성구에서 총기 사고가 있었다. 신모씨(59)는 정차 중인 차량에 난입해 30대 운전자 어깨에 권총을 쏘고 달아났다. 3일 후 경찰과 추격전을 벌이던 신씨는 스스로 머리를 쏴 목숨을 끊었다.

25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18건이 일어나는 등 최근 5년(2012~2016년) 동안 국내에서 총 64건의 총기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자 수는 29명(자살 6명), 부상자 수는 46명에 달한다. 범행에는 공기총이나 엽총, 사제 총 등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경산 권총 강도 사건 이후 총기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경찰은 4월 한 달간 불법무기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5월에는 한 달간 불법무기 집중 단속을 실시한다. 특히 인터넷에 총기제조법을 올리는 행위를 추적해 단속한다.

총기단속수사팀을 신설하는 등 중장기 대책도 추진한다. 앞서 경찰은 올 1월부터 불법무기 검거보상금을 3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대폭 올렸다.

이철성 경찰청장은 "경찰이 관리 중인 총기 13만7000여정은 문제가 없는데 관리되지 않는 총기가 문제"라며 "총기를 불법소지 했을 때 법적 책임을 엄하게 묻고 자진신고 할 수 있는 길을 확대하는 등 불법무기가 시중에 유통·사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하반기에 불법 총기 소지죄에 대한 처벌을 현행 '10년 이하 징역'에서 '3년 이상 징역'으로 강화하는 법 개정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평화 기자 peac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