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불안한 창조경제센터 중기청 사업 따내기 '혈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개 센터 벤처·창업지원사업 너도나도 지원 "문의 빗발"...미래부 존폐 논란 일자 예산 확보 비상]

박근혜정부가 설립한 전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앞다퉈 중소기업청의 벤처·창업지원사업 수주에 나서고 있다. 주무관청인 미래창조과학부를 둘러싸고 차기정부에서 존폐 논란이 일자 센터 자체적으로 생존전략 찾기에 나선 것이다.

24일 정부부처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10곳(중복포함)이 중기청의 벤처·창업지원사업 공모에 참여해 주관사나 운영사로 선정됐다. 비영리 재단법인인 센터 특성상 자체 수익모델이 없다 보니 예산 확보를 위해 중기청의 관련 사업에 지원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중기청이 모집한 ‘2017년 창업도약패키지’ 주관기관 선정에 8개 센터가 몰렸고 이중 서울, 전북, 인천, 광주, 충북 5개 센터가 각각 주관기관과 협력기관으로 선정됐다.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은 창업 3년 이후부터 7년 미만 벤처·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 창업아이템을 사업화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금과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연간 예산은 500억원으로 기관당 평균 22억50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된다.

앞서 지난해 10월엔 중기청의 민간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팁스’(TIPS) 운영사 선정에 6개 센터가 신청해 충북, 울산, 제주, 강원 4곳이 선정됐다. 충북센터는 LG그룹 계열사 3곳과 충북신용보증재단,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등 총 9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결성해 팁스 주관기관으로 뽑혔다. 울산센터(울산과학기술원, 선보엔젤파트너스) 제주센터(케이벤처그룹, 연세대) 강원센터(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휴젤) 등은 컨소시엄에 참여해 팁스 협력기관으로 선정됐다.

중기청의 초기 창업 사업화 지원 플랫폼 ‘스마트 창작터’ 사업에도 센터들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대전, 전북, 강원 3개 센터가 올해부터 주관기관에 포함됐다. 이밖에 선도대학(대학 주관), 사관학교, BI(창업보육센터) 등등 여타 사업에도 센터들이 신청서를 냈다가 떨어지는 등 수주경쟁이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다. 최근에도 사업공모를 앞둔 중기청 관련 부서엔 센터들의 응모 문의전화가 빗발쳤다는 후문이다.

지방 창조경제혁신센터 한 관계자는 “센터가 줄줄이 중기청 문을 두드리는 것은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자체 수익창출 경로를 갖고 있지 않아서”라며 “새 정부 체제에서 미래부의 생존은 불투명하고 일부 지자체는 센터 지원예산을 끊어 각자도생의 길을 가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센터에 입주한 한 벤처기업 관계자는 “입주기업들이 지난해부터 중기청이나 다른 지자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찾아 센터를 떠나는 상황”이라며 “센터 파견 공무원, 지자체 관계자 등도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걱정할 정도”라고 말했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