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중환자에 영양공급돕는 `간접 열량 측정` 기술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환자 환자에게 최적의 영양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간접열량 측정'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GE헬스케어코리아(대표 시아 무사비)가 개발해 지난해 신의료기술로 고시된 '간접 열량 측정 기술'이 지난 21~23일 세종대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된 제36차 대한 중환자의학회 정기학술대회 및 제17차 한·일 중환자의학회 합동 학술대회에서 호평을 받았다. 중환자실에서는 환자 개인별 에너지 요구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최적의 영양공급을 제공하는 것이 중환자들의 원내 생존율과 입원일수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간접 열량 측정기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발표한 한강성심병원 화상외과 조용석 교수는 "중환자 영양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중환자에게 필요한 적정 칼로리를 찾아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돕는 것"이라면서 "간접 열량 측정기는 환자감시장치에 모듈을 연결하여 휴식 대사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유럽 및 미국영양학회의 가이드라인에서 환자에게 가장 정확한 검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GE헬스케어 라이프케어솔루션 사업부 총괄 조민성 이사는, "GE의 간접 열량 측정기는 지난해 신의료기술로 고시되어 건강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가 청구가 가능해져 앞으로 국내 병원에서의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임상 경험과 데이터가 쌓이면 중환자 영양 공급을 위한 표준 진료지침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여 종국적으로 연간 30만명에 이르는 국내 중환자들의 생존율 증가와 병원의 중환자실 효율적 운영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