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미국 수출하는 기업 비상, AFA와 PMS 모르면 `관세폭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1일 넥스틸이 미국에 수출하는 유정용강관(OCTG)에 대해 24.92%의 관세폭탄을 떨어뜨렸다. 지난해 10월 8.04%였던 예비판정보다 무려 3배 이상 높은 고율의 반덤핑 관세이다. 이 회사는 패닉에 빠졌다. 당시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의 전기료 가격조정정책을 구실로 '특별시장상황(PMS)'을 적용해 덤핑마진을 높게 책정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잇단 보호무역 조치에 철강, 화학 등 국내기업들이 대응방안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개별 기업 차원에서 PMS, AFA(불리한 가용정보) 등 최근 강화된 미국 정부의 수입규제 조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미리 수출·원가 자료를 준비해 둬야 한다고 조언한다.

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미국 정부는 총 28건의 반덤핑·상계관세 조사에 착수했다. 이미 지난해 전체 조사착수 건수(53건)의 절반을 넘길 정도로 수입규제 조치를 강하게 취하고 있다.

28건 중 한국산에 대한 조사는 1건이다. 지난 18일 미국 정부는 포스코가 수출하는 탄소합금강선재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후인 20일 상무부에 수입 철강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침해하는지 조사할 것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중국을 주타깃으로 하지만 한국 철강업체들도 조사 결과에 따라 수입 제한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총 392건의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이 153건으로 가장 많고 인도(32건)에 이어 우리나라(24건)는 세 번째로 많은 수입제한 조치를 받고 있다.

392건 중 202건이 철강제품에 집중되고 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과잉이 심하고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반덤핑·상계관세 부과도 많은 것 같다"며 "철강은 미국도 포기할 수 없는 산업이기 때문에 자국 업체를 보호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출기업들은 최근 미국 정부가 관세폭탄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AFA와 PMS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현대중공업은 변압기에 대해 AFA를 적용받아 무려 6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받았다.

AFA는 미국 기업으로부터 제소를 당한 기업이 충분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상무부가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가 충분한지 아닌지는 상무부가 자의적으로 판단한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덤핑마진이 결정된 247건 중 60건에 AFA가 적용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지난 2년간 AFA 조항이 적용된 시장경제국가의 덤핑마진은 평균 50%가 넘는다"며 "200% 이상의 고율의 관세가 부과된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넥스틸은 최초로 PMS 적용을 받아 고율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PMS는 조사당국이 수출업체가 제출한 원가 자료를 믿을 수 없다며 재량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넥스틸 사례에서 미국 상무부는 유정용강관의 주재료인 열연코일의 한국내 구매가격과 한국 정부의 산업용 전기요금 정책 등을 특별시장상황으로 보고 연례재심 덤핑마진을 이전보다 높게 책정했다.

이미현 무역협회 통상협력 실장은 "미국 상무부가 판단상의 자의성과 재량적 측면이 큰 AFA 또는 PMS를 사용해 수입규제의 강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며 "기업측면에서는 협력사 및 관계사와의 거래뿐 아니라 제조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까지 파악해야하므로 철저한 사전 대응을 위해서는 전사적인 관심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