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스텔라데이지호 ‘선체 피로 등 복합 원인’ 침몰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31일 남대서양에서 침몰한 한국 화물선 ‘스텔라데이지호’의 추가 생존자 소식이 들려오지 않는 가운데 초대형 화물선의 침몰 원인을 둘러싸고 의혹이 커지고 있다.
서울신문

대답 없는 아들 - 지난달 31일(한국시간) 남대서양에서 침몰한 화물선 ‘스텔라데이지호’에 타고 있던 윤동영 3등 항해사의 어머니가 사고 30여분 전에 아들과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시지.부산 연합뉴스


스텔라데이지호에는 한국인 8명을 포함한 선원 24명이 타고 있었다. 이 중 필리핀 선원 2명을 제외한 22명이 실종 상태다. 이는 2014년 12월 러시아 베링해에서 사조산업 소속 원양어선 ‘501오룡호’가 침몰(사망·실종 53명)한 이후 2년 4개월 만에 일어난 최악의 해상 참사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침수로 배가 가라앉았다는 증언은 있지만 사고 원인은 알려진 게 없다. 실종자 가족들은 선박 노후설을 제기한다. “선령(배의 나이)이 25년인 노후 선박을 무리하게 운항해 사고를 냈다”는 것이다. 반면 선사 측은 “정기검사 후에 운항했다”고 일축했다. 사고 선박은 1993년 건조됐다. 노후 선박은 보통 30년 이상된 선박을 말한다.

3일 한국선급에 따르면 사고 선박은 2013년 4월 육상에 거치해 정기검사를 받았고 2015년 5월 중간검사, 지난해 8월에도 연차(샘플링) 검사를 받았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마지막 검사에서도 문제가 없었다”며 “기계적 결함보다는 외부 요인에 의해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와 해운업계는 검사 과정에서 발견되지 못한 기계적 결함이나 높은 파도의 영향으로 선체 피로도가 증가하는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광열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선체(312m)와 비슷한 길이의 파고와 파고 사이에 선체가 끼여 파도가 선수와 선미를 계속 치면 선박의 중앙 부분이 붕 뜨면서 구조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며 “이러면 선체 중앙 부위가 파손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선주협회 관계자도 “발견하지 못한 하자가 있었거나 파도가 주는 스트레스를 선체가 못 견디는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과적으로 인한 침몰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적재 중량이 26만 6141t인 스텔라데이지호는 당시 철광석 26만t을 실었다. 침몰 당시 해역의 날씨도 나쁘지 않아 기상 악화설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외교부 당국자는 “브라질 군항공기가 3시간에 걸쳐 조난 지점 부근 300마일(약 483㎞)을 수색했지만 실종 선원들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스텔라데이지호 선사인 ‘폴라리스 쉬핑’은 구조된 조기장과 갑판수 등 필리핀 선원 2명의 소환 절차를 밟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선사는 선원 가족들이 이들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해 국내 소환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