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조선 `빅3` → `빅2`전환 첫 공식화…정부 "내년이후 M&A"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대우조선 구조조정안 확정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빅2' 체제 전환 검토하겠다."

대우조선해양 문제가 불거진 후 꾸준히 제기돼온 '빅2' 체제 전환에 대해 정부와 채권단은 이날 공식적으로 처음 인정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그동안 빅3 체제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을 때마다 "빅2 체제 개편은 없다"는 방침을 고수해 왔지만 다시 추가 자금을 수혈하는 마당에 과거 입장을 반복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동시에 정부·채권단은 이날 '대우조선해양 주인 찾기'를 수차례 강조했다.

두 가지 방안을 종합해 보면 결국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에 대우조선해양을 통째로 매각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을 쪼개 팔아서 '2강1중' 체제로 가거나 제3의 사업자에게 대우조선해양을 통째로 매각해 빅3 체제를 유지할 생각이 없다는 일종의 대우조선해양 민영화 가이드라인을 밝힌 셈이다. 우선 정부·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을 상선·해양·특수선(방산)으로 쪼개서 매각하는 방안은 현실성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 회사를 통으로 매각하는 게 가장 유리하고 현실적이라는 설명이다. 사업부별로 공유하는 설비·인력이 많아 분할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내기 어렵고 매각 가치도 크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량·비우량 사업을 쪼개는 방법도 현실적으로 채택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사실상 손실 처리되는 비우량 부문으로 부채를 이전할 경우 채권자 동의가 필요한데 법정관리가 아닌 이상 불가능한 옵션이기 때문이다.

결국 대우조선해양 매각과 산업재편은 빅2 체제로의 전환이라고 명시했다. 이날 정부·채권단은 "향후 인수·합병(M&A) 시 국내 조선산업 내 규모의 경제 시현과 과당경쟁에 따른 저가 수주·과잉 공급 해소를 위해 '빅3→빅2'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구체적인 시기는 구조조정이 일단락되는 '내년 이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민영화 기준은 제시됐지만 실현 가능성에는 많은 의문이 제기된다. 정상화 방안이 제대로 이행돼 대우조선해양이 연매출 6조~7조원의 '클린 컴퍼니'로 안착하고 2018년부터 조선 업황이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너무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구조조정이 지연되거나 업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는 계속 지체될 수밖에 없다.

대우조선해양이 클린 컴퍼니가 된다고 해도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이 매수자로 나설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우선 사업부문이 겹치고 3개 조선소를 보유한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해서 얻는 실익이 별로 없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이 해양사업을 접고 상선과 특수선에 특화한다면 특수선을 하지 않으면서 해양플랜트에 특화된 삼성중공업과의 합병이 시너지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인다"면서도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의지와 여력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