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고위공직자 1300여명…1년새 재산 76.8% 증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불황과 2%대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8명꼴로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고위공직자 1800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23일 관보에 공개했다.

재산공개 대상자는 ▲장·차관급 고위공무원 ▲대학 총장 ▲고위공무원단 등 중앙부처 등에 소속된 공직자가 701명, ▲광역·기초단체장 ▲시·도립대 총장 ▲시·도 교육감 등 지방자치단체 등에 소속된 공직자가 1099명이다.

이들 고위공직자의 평균 재산은 13억5500만원으로 전년도보다 7600만원이 늘었다. 신고대상자 1800명 가운데 재산을 불린 사람은 1382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했다.

1억원 이상 재산이 늘어난 공직자는 571명으로 전체 재산증가자의 41.3%였다. 10억원 이상 재산을 증식한 공직자가 10명(0.7%)이었고,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은 59명(4.3%),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은 502명(36.3%)인 것으로 조사됐다.

재산 증식은 부동산·주식가격 상승과 더불어 급여저축, 상속·증여 등에 따른 것이었다.

전체 공직자들의 평균 재산 증가액 7600만 원 가운데 개별 공시지가 및 공동·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 종합주가지수 상승 등으로 인한 증가분은 3300만원(43.4%)이었고, 급여저축과 상속·증여에 따른 증식분은 4300만원(56.6%)이었다.

신고재산 규모별로는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이 480명(26.7%)으로 가장 많았다. 10억원 이상 20억원 미만 449명(24.9%),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437명(24.3%)이었다. 2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재산신고자는 274명(15.2%)을 기록했고, 50억원 이상도 62명(3.4%)에 달했다.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액 13억5500만원 가운데 본인 재산은 7억4000만원(54.6%), 배우자는 4억7700만원(35.2%),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은 1억3800만원(10.2%)으로 집계됐다.

다만 공개 대상자 가운데 부모와 자녀의 재산공개를 거부한 공직자는 550명으로 재산고지 거부율은 30.6%에 달했다. 고지거부는 독립생계를 유지할 능력이 있는 직계 존·비속의 경우에 재산고지를 거부할 수 있는 제도다.

박근혜 전 대통령 재산은 37억3820만원으로 전년 대비 2억1896만원 증가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헌법재판소의 탄핵인용 결정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됐으나 작년 12월 말 기준 재산신고 대상자에 포함됐다.

고위공직자 가운데 최고 부자는 허성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장으로, 207억6205만원을 신고했다. 중앙부처 공직자 중에서는 이련주 청와대 국정과제비서관의 재산이 101억194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