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사드 배치로 한국 경제성장률 0.5% 떨어질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보복 조치가 계속되면서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8일 국내외 경제연구기관들은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 사태로 한국 GDP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보다 0.5%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금융기관인 크레딧 스위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관광 금지 조치가 한 해 동안 지속하면 한국 GDP 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크레딧 스위스는 중국관광객 감소를 근거로 들었다.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연간 810만명 규모로 이 중 패키지여행을 비롯한 단체 관광객 비중이 350만명에 달한다. 중국인 단체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액이 2080달러(약 239만원) 정도임을 고려하면 총 손실액은 73억 달러(약 8조3942억원) 규모로 한국 GDP의 0.53% 규모라는 계산이다.

중국 관광 당국인 국가여유국은 지난 3일 베이징 일대 여행사를 소집해 한국행 여행 상품 판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단체관광 대신 개인관광으로 한국을 찾아 실질적인 피해액은 크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중국 내 한국제품 불매운동과 반한감정으로 인해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국내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지금 상황에서는 일부 기업에 국한된 문제지만 전체 산업으로 퍼지면 문제가 커진다"며 "GDP 성장률 0.5%포인트 감소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소비재와 관광업에서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한국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이 20% 급감하고, 동시에 중국의 방한 관광객이 20% 감소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한국 GDP는 0.25%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내다봤다.

다만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 무역 구조가 한국에서 중간재를 수입해 가공한 뒤 선진국에 수출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중국의 보복이 국지적으로 이뤄진다면 일부 타격은 있겠으나 전체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디지털뉴스국 배동미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