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허리 휘는 가계] 작년 가계소득 감소폭 컸지만.. 1인가구 포함땐 3배 더 커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인가구 빈곤율 50.5%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득불평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특히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감안하면 우리 사회의 숨겨진 불평등은 더욱 크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잡은 '1인가구'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우리 가계소득의 감소폭 역시 1인 가구를 포함하면 3배 상승한다는 분석도 있다.

1일 통계청 '2016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5분위 배율은 4.48로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 가구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소득불평등 정도가 심화될수록 수치가 높아진다. 그러나 이조차 실제 불평등 정도보다는 축소돼 있다. 이 통계에는 '1인가구'는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선 2015년 11월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1인가구 비율은 2000년 15.5%에서 2015년 27.1%까지 늘어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잡았다. 그 수만 무려 520만명에 육박한다. 고령화와 비혼 탓에 1인가구는 올해엔 540만명에 이르러 전체의 28%를 넘을 전망이다. 문제는 이들이 넉넉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실제 1인가구의 빈곤율(가처분소득 기준)은 2012년 50.3%에서 2016년 50.5%로 늘었다. 이에 비해 평균 빈곤율은 16.6%에서 16.0%로 줄었다.

이 탓에 앞서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가계소득도 1인가구까지 포함하면 실제론 1.2%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는 2인 이상 가구 실질 소득 감소폭인 0.4%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임금소득이 아닌 부동산 등 자산소득 불평등은 더 심각하다. 가계동향 통계에서 가처분소득 지니계수(2015년 기준)는 0.295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1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의미다. 가처분소득 지니계수가 0.295인 반면 부동산과 금융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592로 배 가까이 높아진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1인가구는 매월 가처분소득의 25%를 월세로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114'가 작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와 국토교통부의 전국 전용면적 33㎡ 이하 주택 보증부 월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3.4분기 기준, 1인가구는 월평균 가처분소득 142만원 중 평균 36만원(월 소득의 25.4%)을 월세로 썼다.

김용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