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혁신경영] 중소·벤처기업 육성 등 바이오화학 산업 기반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S칼텍스
중앙일보

GS칼텍스는 약 8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바이오부탄올 양산에 필요한 발효-흡착-분리정제 통합공정 기술을 파일럿 규모에서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40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다. 사진은 GS칼텍스 바이오부탄올 실험실 연구 모습. [사진 GS칼텍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S칼텍스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안정적 수익성을 확보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정유·석유화학·윤활유 등 기존사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원가절감 및 수익 확보를 위한 설비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새로운 미래사업을 확대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보와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회사가 보유한 핵심기술이나 원료, 고객 등을 기반으로 유가 등 외부 환경에 따른 변동성이 큰 기존 사업을 보완하는 방향이다.

장기적 성장전략 아래 바이오케미칼 분야에서 바이오매스 원료 확보부터 생산기술 개발, 수요처 개발 등 상용화 기술 개발 및 사업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앞으로도 스케일업 연구를 통한 기술검증 및 다운스트림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미래 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약 500억원 규모의 바이오부탄올 시범공장을 여수에 건설한다. 전후방에서 원료 및 다양한 응용제품을 담당할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바이오화학 산업의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GS칼텍스가 상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바이오부탄올은 바이오에탄올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아 휘발유와 혼합해 사용 시 연비손실이 적으면서도, 엔진의 개조 없이 휘발유 차량용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물에 대한 용해도와 부식성이 낮아 기존 연료의 수송 및 저장 인프라를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바이오부탄올은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쓰이는 재료의 원료로 사용된다.

GS칼텍스는 2007년 이후 약 8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바이오부탄올 양산에 필요한 발효-흡착-분리정제 통합공정 기술을 파일럿 규모에서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40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다. 그 결과 폐목재·임지잔재·농업부산물 등 모든 종류의 저가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혼합당(C5+C6 Sugar)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첨단 생명공학, 대사공학, 미생물 유전자 조작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균주는 이 혼합당의 동시발효를 통한 바이오부탄올이 가능하다. 독자적인 연속형 발효공정과 결합돼 세계 최고 수준의 수율과 생산성을 통해 기존 석유계 부탄올 대비 획기적인 원가경쟁력을 높일 기술을 확보했다.

송덕순 객원기자 song.deoksoon@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