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분사 앞두고 긴장감 높아가는 현대중공업…노조 ‘22년 만의 전면 파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가 23일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사측의 2016년도 임·단협의 성실 교섭을 촉구하고, 오는 27일 임시주총에서 강행할 사업분할을 중단토록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노조는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전체 조합원 1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전면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사업부별 집회를 연데 이어 이날 오전 10시30분 노조사무실 앞에서 전체 집회를 열고 사측의 분사 방침을 규탄했다. 집회 참가조합원들은 ‘투쟁 승리’ ‘구조조정 박살’이라는 글이 적힌 노란색과 빨간색 풍선 봉을 흔들거나 구조조정 중단을 요구하는 글이 인쇄된 풍선 수백개를 띄운데 이어 사내도로를 행진했다. 노조는 이 집회에 노조원 1500여명(사측 추산 800여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노조의 파업은 지난해 5월 임·단협을 위한 노사간 상견례 이후 19번째이고, 전면파업은 1995년 이후 22년 만에 처음이다. 그러나 지난 20여년 동안 노사 교섭과정에서 노조가 7시간 짜리 파업을 수시로 한 만큼 ‘22년 만의 전면 파업’은 상징적 의미 이외에 별다른 특징은 없다.

경향신문

금속노조 울산지부와 현대중공업지부 소속 조합원들이 지난 15일 현대중공업 앞에서 사측의 분사 방침에 항의하는 집회를 열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제공


사측은 이날 노조의 파업으로 큰 생산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시간당 생산대수가 정해져 있는 현대자동차와 달리, 조선업은 1~2년 단위의 선박·해양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어 단기간의 전면 파업이 생산차질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노조는 24일과 임시주총이 열릴 오는 27일에도 전면파업 방침을 세웠다. 주총에는 주주 권한을 가진 조합원들이 직접 총회에 참석해 사측의 사업분할을 막을 것이라고 노조는 밝혔다. 사측은 당일 현대중공업(조선·해양·플랜트·엔진) 존치,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등 4개 사업으로 법인을 분할하는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사측은 “경영합리화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밝혔지만, 노조는 “일자리 감소와 인력 역외유출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맞서 갈등을 겪고 있다.

민주노총울산본부와 금속노조울산지부·현대중공업지부·현대차지부 등은 이날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중공업이 오는 27일 사업분할을 위한 임시주총을 앞두고 지난 17일 법원에 업무방해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면서 “노동자와 시민의 저항권 일체를 불허하는 가처분 신청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경향신문

민노총울산본부와 금속노조 울산지부, 현대중공업지부, 현대차지부 등 노조 4개 단체가 23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노동자와 시민의 저항권 일체를 불허하는 사측의 주총 업무방해금지 가처분신청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백승목 기자


사측은 신청서에서 백형록 현대중공업지부장과 김진석 수석부지부장, 김상구 금속노조위원장과 두 노조지부를 상대로 피신청인별로 위반행위당 각각 10억원 지급을 요청했다. 가처분 행위는 주주들을 출입할 수 없게 하거나 출입문 내지 출입 경로를 봉쇄하는 행위를 비롯해 노조원들이 소수 의결권을 분할 위임받아 주주총회 참여 및 진행을 지연하는 행위, 신청인 회사 임직원의 총회장 출입을 막거나 곤란하게 하는 행위 등 모두 7건이다.

앞서 노사는 지난 22일 2016년도 임·단협 교섭을 열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최근까지 열린 교섭에서 사측은 올해말까지 종업원 고용을 보장하는 대신 1년간 전 임직원이 기본급의 20%를 반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측은 또 고정 연장수당 폐지에 따른 임금 조정분 10만원과 호봉승급분 2만3000원을 포함해 월평균 임금 12만3000원 인상, 성과급 230% 지급,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화합 격려금 100%+150만원 지급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