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유럽, 수산물에 '환경발자국' 도입 채비…대응책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우리나라 수산물의 주요 수출시장인 유럽연합(EU)에서 수산물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어획 또는 양식되었음을 입증하는 '제품환경발자국·PEF)제도를 도입할 채비를 하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

EU는 지난해 금액 기준으로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의 7.4%를 차지했다.

EU는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에 맞춰 환경발자국 제도 도입을 준비 중이라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2일 밝혔다.

환경발자국 제도는 제품의 원료 조달부터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 정보를 제품에 부착해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주도의 자원 효율적인 시장을 만들고자 하는 제도다.

연합뉴스

수산물[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제도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기보다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준 등 다양한 기존 국제기준을 통합·보완하는 방안으로 알려졌다.

EU는 현재 수산을 포함해 25개 분야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개발원은 환경발자국 제도가 앞으로 EU 등 선진국에 대한 수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수산분야 시범사업은 노르웨이가 주축이 돼 수산물의 어획·양식, 양륙, 냉동·건조 등 보존행위를 포함한 가공, 유통, 수산물을 원료로 하는 식품의 생산, 소비, 폐기물 처리 등 전 과정을 대상으로 개발 중이다.

EU는 2020년에 환경발자국 제도를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산물의 EU 수출은 연평균 9.42%씩 증가하고 있어 EU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만큼 환경발자국제도에 대응할 준비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해양수산개발원은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환경발자국제도와 비슷한 환경성적표지제도를 도입했지만 공산품과 산업자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수산분야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의 하나로 기초 연구를 연차별로 진행하는 수준에 있다.

해양수산개발원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어종별, 어업별, 어구별 생산량 등 기초자료 연구를 조속히 시작하고 환경영향 평가 방법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경발자국제도는 우리 수산물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 다양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도입을 검토해 볼 만하다.

특히 비관세장벽에 미리 대비하는 차원에서도 이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해양수산개발원은 주장했다.

lyh9502@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