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글로벌IB, 한국경제 흔들기…韓銀 "지나친 비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들을 중심으로 한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 13일 국제금융센터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외국계 증권사들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잇달아 2% 초반대로 낮춰 놓은 상태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각각 2.4%, 2.3% 성장에 그칠 것으로 봤고, 심지어 노무라는 2.0%로 전망했다.

해외에서 한국 경제를 보는 시선이 그만큼 싸늘한 셈이다. 하지만 이를 이유로 한국은행이 올해 금리를 세 차례나 낮춰야 할 정도로 한국 경제 위기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는 것은 해도 해도 너무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형적인 한국 경제 흔들기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와 글로벌 수요 회복 제약이 한국 경제의 최대 리스크"라면서 "정치적 혼란으로 정부의 대응 여력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재정정책마저 확장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골드만삭스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기업 구조조정,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 등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성장이 낮게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이들 IB는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최소 한 차례에서 최대 세 차례까지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한은이 3분기까지 매 분기 0.25%포인트씩 내려 기준금리가 1분기에 연 1.00%, 2분기에 0.75%, 3분기에는 0.50%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HSBC, JP모건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1.00%까지 낮춰 연말까지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맥락에서 최근 국내에서도 '4월 위기설'이 불거지고 있다. 한국 경제가 대외적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과 사드 보복으로 휘청거리고, 안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만기 도래한 회사채를 갚지 못하는 등 대기업이 부실화하는 내우외환 속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올해 자국 기준금리를 세 차례에 걸쳐 인상할 것을 시사하면서 글로벌 자금 유출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은은 최근 국내 경제가 수출과 설비 투자를 중심으로 살아나는 상황에서 지나친 비관론은 금물이라는 입장이다. 한국 경제 전망이 당장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들 만큼 어둡지 않다는 얘기다. 기업과 가계의 심리가 위축돼 있지만 지난해 4분기부터 수출과 설비 투자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출과 설비 투자는 지난 1월 한은이 올해 한국 경제가 2.5% 성장이 가능하다고 내다본 주요 근거였다. 한은 고위 관계자는 "글로벌 수요가 여전히 확연한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긴 어렵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한국 주력 산업의 활황 사이클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전 세계적인 활황 국면에 들어선 반도체 산업은 자동차 등 여타 제조업과 달리 국내 설비 투자로 직접 연결되는 측면이 있어 '수출 호조→설비 투자 증가'의 선순환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적인 정보기술(IT) 수요 회복세가 IT 수출 비중이 전체 수출의 35%에 육박하는 한국에 숨 돌릴 여지를 마련해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수출은 지난해 11월부터 넉 달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1~10일 수출액도 대폭 늘어났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2월 1~10일 수출액은 15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8% 급증했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 수출이 워낙 안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지만 지난해 말부터 회복세가 확연하다. 수출은 지난해 11월 전년 동기 대비 2.5%, 12월 6.4%, 올해 1월 11.2% 늘면서 점차 증가폭을 확대하고 있다.

설비 투자도 지난해 3분기까지 역성장(3분기 누적 -4.2%)하다 4분기 들어 6.3% 늘면서 성장률 방어에 일등 공신 역할을 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의 반도체 생산 설비 건설과 항공기 도입 등이 설비 투자가 늘어난 주 원인이었다.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