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美 기준금리 동결 6월 인상설 부각…기재부 “시장영향 적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은 물론 글로벌 금융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결과다.

연준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불확실성으로 인해 금리를 올릴 만큼 여유가 없었다고 평가다.

연준은 1일(현지시간)까지 열린 FOMC 정례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현행 0.5~0.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 만장일치로 동결을 결정했고 다음 인상시점도 특정 짓지 않았다.

전자신문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예상된 동결 결정으로 시장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유일호 부총리 주재로 9차 경제현안점검회의를 열고 “연준 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여전히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향후 미국 금리인상과 관련된 여건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증권자금은 안정적인 유입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주식자금은 작년 11월 중순 이후 채권자금도 새해 들어 유입세로 전환했다. 외국인 주식 순매수는 작년 12월 1조7000억원을 기록한데 이어 올 1월에도 1조5000억원가량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글로벌 교역여건 악화 가능성,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 인해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은 다음 FOMC 회의가 열리는 3월에도 금리인상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올해 최대 3차례로 예상된 금리인상 시기가 많아야 2차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첫 시점은 빨라야 6월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자신문

구혜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긍정적인 경기 여건과 1분기 중 높은 물가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 경계감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하지만 경기판단 개선에도 3월 금리인상 신호는 없었다는 점을 볼 때 서두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자신문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연준이 통화정책에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만큼 3월 회의를 봐야 정책기조가 나올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이성민 코스피 전문기자 smle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