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80년대나 있을 법한…박근혜 정부 정무수석실 검은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지금 보신 이른바 '관제 데모'에서 블랙리스트까지 70~80년대 독재정권 시절에나 있을법한 일들이 박근혜 정부에서 버젓이 일어나고 있었다는 폭로, 주장들입니다. 이걸 주도한 게 바로 청와대 정무수석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공작 정치 의혹에 계속 등장하는 박근혜 정부 정무수석실이 어떤 곳인지 한 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남궁욱 기자, 정무수석실의 업무, 대략은 알고 있지만 모르는 게 있는 것 같고요. 뭡니까?

[기자]

정무의 사전적 의미는 '정치나 국가 행정과 관계되는 업무'입니다. 더 자세한 건 청와대 조직도를 보시면 이해가 빠른데요.

국회와 정당 담당 정무비서관, 행자부 담당 행정자치비서관, 그리고 행자부 산하 경찰청 담당 치안비서관, 이렇게가 정무수석 산하입니다.

[앵커]

저기 세 번째 국민 소통. 이건 국민과 소통하는 곳이라는 팀인데 왜 이런 의혹을 받을까요?

[기자]

블랙리스트를 만들었다는 혐의로 구속된 정관주 전 문체부 차관과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이 모두 국민소통비서관 자리를 거쳤습니다.

앞서 의혹에서 계속 나오고, JTBC가 지난해 보도했던 어버이연합 동원 의혹 때 등장했던 허현준 전 행정관도 바로 국민소통비서관실 소속이었습니다.

[앵커]

그럼 이전 정부들에선 시민단체와 소통 자체가 정무수석의 역할이 아니었습니까?

[기자]

노무현 정부 때로 가보면 시민사회수석실 또는 국민참여수석실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담당하고요. 또 시민단체들에 의견을 수렴했었습니다.

또 직전 이명박 정부도 광우병 파동 이후이긴 하지만 사회통합수석실이라는 곳을 만들어서 운영했습니다.

하지만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민소통비서관실 하나만 남기고 그것도 정무수석실 산하로 넘긴 겁니다.

[앵커]

그때부터 이런 문제를 잉태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정무수석실은 대통령의 뜻을 정치적으로 풀어가는 곳인데, 시민단체를 그런 논리로 접근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지적 아니겠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그러면 평소에 정무수석실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보면 될 것 같은데요. 총선 때마다 여당 공천에 개입을 했네 말았네 하는 '밀실 공천 의혹', 또는 '보이지 않는 손 의혹' 이런 것들을 일으켰던 주역으로 거론되는 게 정무수석실입니다.

이런 정무수석실에 시민단체 담당을 시킨 것부터 시민단체와 소통보단 정치적 잣대로 시민단체를 재단하고 길들이려고 한 게 아니냐 이런 의혹이 제기되는 겁니다.

[앵커]

거기서 파생되는 여론 조작, 대중 조작의 문제가 나타난다는 건데요. 정무수석실의 인적구성도 문제가 제기돼왔잖아요?

[기자]

예, 정무수석…어느 대통령이든 측근을 앉히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현 정부는 특히 그게 심했다는 얘기가 나오는 건데요.

대통령의 '10년 복심'으로 알려진 이정현 의원, 대통령의 개인소송 때 변호사였던 김재원 전 의원, 그리고 후보 시절부터 박 대통령을 밀착수행했던 그래서 '수행대변인'이라는 특수한 이름으로 불렸던 조윤선 전 장관이 모두 정무수석을 지냈는데요.

그러다 보니까 정치권, 관가 이런 데서는 "대통령이 자기 편한 사람만 시킨다, 그래서 정무수석이 대통령이 시키는 일이면 무조건 한다" 등 지적이 있었던 겁니다.

[앵커]

조 전 장관 같은 경우엔 여성부 장관을 하다가 정무수석이면 장관급이 아니라 차관급인데 기꺼이 갔던 기억이 납니다.

[기자]

예, 그래서 강등 발탁이라는 이상한 용어가 있기도 했었죠. 바로 그런 충성심을 보였다는 측면 때문에 그런 충성심이 비뚤어져 표현되면서 블랙리스트 작성 또는 관제데모 주도 같은 비뚤어진 형태의 '대통령 보위활동'으로 이어진 건 아닌지 특검이 수사 중인 겁니다.

남궁욱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