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아모레퍼시픽, TPP무산에 힘받는 화장품 대장株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기업 분석 / 아모레퍼시픽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악재로 주가가 22%나 하락한 화장품업종 대장주인 아모레퍼시픽이 연초부터 주가 턴어라운드에 시동을 걸고 있다. 최근 한참 저평가돼 있는 주가 매력에 외국인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탄탄한 현금창출 능력이 턴어라운드의 후원군으로 꼽힌다. 주가와는 달리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연간 영업이익 증가율 20%를 기록하는 등 '나홀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특히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로 아시아 시장이 중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아모레퍼시픽의 투자 매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증권사 3곳 이상의 시장 전망치(컨센서스)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3973억원, 영업이익 14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4%, 영업이익은 17.7%씩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조7384억원, 903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에는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화장품업체 중 유일한 '1조원 클럽' 가입이 기대된다는 얘기다.

아모레퍼시픽의 이 같은 성장은 화장품 수량 기준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의 성장세 때문이다.

중국에서 맞불을 놓고 있는 일본 시세이도와 프랑스 로레알의 작년 대비 올해 중국 사업 영업이익률 예상 증가율은 7~8%인 데 비해 아모레퍼시픽은 20%가 넘는다. 주력 화장품인 '설화수'와 '라네즈'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기 때문이다.

올해도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작년 10월부터 화장품 세율을 기존 30%에서 15%로 하향 조정하자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5일부터 인기 화장품 브랜드 327개 제품에 대한 판매 가격을 최대 30%나 인하하며 공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 시장 1위는 로레알이지만 최근 2~3년 동안 점유율 15%에서 정체돼 있는 사이 아모레퍼시픽이 작년 4.3%에서 올해 점유율 5% 이상을 내다보고 있다.

사드 악재로 작년 한 해 22.4%나 하락했던 주가는 올 들어 반등 중이다. 24일 미국의 TPP 탈퇴 소식에 전일 대비 3% 오르며 지난 10일 이후 이날까지 상승률 11%를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작년 3분기 매출 중 북미 매출 비중이 0.9%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18.5%에 달한다. 2013년 10.9%에서 중국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유통·화장품 팀장은 "외국인들은 글로벌 화장품 대비 주가가 저평가돼 있고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나홀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을 순매수할 수밖에 없다"며 "사드 악재는 이미 주가에 반영됐고 TPP로 인한 수혜가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외국인은 아모레퍼시픽 주가가 저평가됐다며 연초부터 이날까지 648억원어치 순매수에 나서고 있다. 이 종목의 올해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21배 수준이다. 경쟁 상대인 시세이도와 로레알의 PER가 25배, 중국 상하이자화가 32배인 것을 감안하면 이 종목이 저평가된 셈이다. 중국과 국내에서 동시 성장한 시기인 2014~2015년 아모레퍼시픽 PER는 60배까지 올라 한때 가장 고평가된 화장품주였다.

건전한 재무구조로 인해 투자 여력이 넘치는 것도 호재다. 부채비율은 3년 연속(2013~2015년) 30%대에 불과하고 단기채무 지불능력을 뜻하는 당좌비율은 2015년 말 기준 150%가 넘는다.

전체 매출 중 90%를 차지하는 화장품 분야의 선전이 그대로 이익잉여금 증가로 이어지면서 작년 9월 말 현재 3조932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 브랜드의 현금창출력을 바탕으로 올해 2~3곳의 인수·합병(M&A)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초 화장품에 강점이 있는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해외 색조 화장품 업체 M&A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일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