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병상 부족에 격리 안 돼…슈퍼박테리아 감염 주의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항생제가 듣지 않는 환자는 해마다 급증해서, 우리나라에서만 한해 8만명 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워낙 병원 내 감염이 많아서 격리 치료가 원칙인데요. 실제로 병원에선 격리는 커녕 의료진끼리 정보도 공유되지 않고 있습니다. 병상이 부족해서 어쩔 수 없다지만 감염 위험을 언제까지 방치해야 할까요.

이어서 성문규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에선 항생제 메티실린 내성균인 MRSA를 비롯해 6종류의 슈퍼박테리아가 지정감염병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200병상 이상의 전국 백여 개 병원에서 발생하는 슈퍼박테리아 감염만 연간 8만 건이 넘습니다.

환자가 워낙 많다보니 원칙인 격리치료는 엄두도 못 냅니다.

1인실 격리가 어렵다면 해당 환자들만 한 병실에 모으는 '코호트 격리'를 해야 하지만 이 역시 지켜지지 않습니다.

[병원 의료진 : 이상적으로는 격리시키면 좋죠. 좋은데…그런 여건이 안 되는 게 문제잖아요.]

환자가 많아 격리가 어렵고, 격리가 안 되니 환자가 더 늘어나는 악순환에 빠진 겁니다.

결국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의료진의 주의가 최선일 수밖에 없습니다.

[김우주/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의료진의 정보 공유도 굉장히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항생제 개발 이전의 암흑기 전염병 시대로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이죠.]

보건 당국은 현재 표본감시를 하는 슈퍼박테리아 중 두 가지를 오는 6월부터 전수감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감염자가 가장 많은 MRSA 환자는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성문규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