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유엔, 로힝야 학살 부정하는 아웅산수치에 "현장 가보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군의 이슬람계 소수민족 로힝야족 학살 주장을 강력하게 부인하는 최고 실권자 아웅산 수치를 향해 국제사회가 문제 해결을 주문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유엔은 수치를 향해 현장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라고 주문했고, 미얀마 주재 서방 외교관리들은 사실확인과 피해자인 로힝야족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현장 접근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현지 언론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비제이 남비아르 유엔 미얀마 특사는 성명을 내고 실권자인 수치 국가자문역에게 로힝야족 사태 개입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미얀마 정부가 주민의 안전 보장을 위해 적극적인 조처 대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로힝야족 주민은 좌절하고 국제사회는 실망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남비아르 특사는 이어, "학살 주장이 나온 마웅토와 부티다웅에 가서 민간인들을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해줄 것을 수치 여사에게 호소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미국과 유럽 등 현지에 주재하는 13개국 대사들도 집단 성명을 통해 수치가 주도하는 미얀마 정부를 압박했습니다.

특히, 이들은 성명을 통해 2개월째 지속되는 군사작전으로 끊긴 로힝야족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작전지역을 개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얀마군은 지난 10월 9일, 방글라데시와 인접한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 마웅토 등에서 무장세력에 의한 경찰초소 습격사건으로 경찰관 9명 숨지자, 로힝야족 거주 지역을 봉쇄한 채 대대적인 군사작전을 벌여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군이 민간인 학살과 성폭행, 민가 방화 등을 자행했다는 주장이 잇따르면서 '인종 청소' 논란이 불거졌고, 실제로 로힝야족 2만2천 명가량 안전지대를 찾아 국경 너머 방글라데시로 대피했습니다.

그러나 미얀마 정부는 이런 주장을 일축해왔으며, 수치 측은 이번 사태를 집중적으로 보도해온 외신들이 거짓 기사를 내고 있다고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 기사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