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브렉시트 후 유럽 금융허브는 프랑크푸르트"…독, 노동법 개정 고려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조인우 기자 = 독일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수혜자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다. 브렉시트 이후 프랑크푸르트를 유럽연합(EU) 금융의 중심지인 런던의 뒤를 이을 금융 허브로 만들려는 전략이다.

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독일은 브렉시트 이후 런던의 대안을 찾는 은행들을 유치하기 위해 정리해고 수당을 10만 유로(1억 2400만원)~15만 유로(1억 9000만원)로 제한하는 노동법 개정을 고려하고 있다.

독일의 재무부는 그러나 이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거부했다. 노동부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은행장들은 금융허브로서 독일의 가장 큰 단점을 비싼 해고비용으로 꼽는다. 영국의 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다른 산업 분야보다 고용과 해고 주기가 빠르게 돌아가는 금융 산업에서는 특히 예민한 부분이다.

나이 든 직원이나 부양가족이 있는 직원을 법적으로 특별히 보호하는 것도 은행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 변호사는 런던에서 15만 달러를 받는 나이 든 은행원이 독일에서는 150만 달러를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에서보다 고용 비용이 10배 높은 셈이다.

FT는 노동법을 개정한다면, 브렉시트 이후 프랑크푸르트가 자연스럽게 런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FT가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프랑크푸르트는 지금까지 세계적인 은행 10개 중 7개의 자회사를 유치하며 런던의 뒤를 잇는 EU금융의 중심지 역할을 해 왔다. 룩셈부르크 5개, 파리와 더블린 각각 4개를 압도하는 수치다.

이와 함께 독일은 2500개에 달하는 은행을 보유하고 있다. '제2의 런던 자리'를 두고 다투는 다른 모든 도시보다 많은 수다. 은행장들은 "자회사를 새로운 도시에 세우는 것보다 프랑크푸르트에서 확장하는 편이 낫다"며 "프랑크푸르트가 런던을 대신하는 유로존의 금융 허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join@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