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충남 서북부 가뭄, 강제급수? 제한급수? 뭐가 맞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 국토부 '강제적' 발표에 반발 ... 총량제 제한급수 시행

뉴스1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에서 열린 보령댐 도수로 건설공사 착공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현장 모습. (국토교통부 제공) 2015.10.30/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남=뉴스1) 허수진 기자 = 충남 8개 시군 급수 조정 관련 방침을 두고 정부와 도의 설명이 달라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2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내달 충남 8개 시군 강제 급수조정’ 내용 중 ‘강제적’이라는 용어 사용은 섣부르다는 것.

도는 "당시 국토부, k-water 등 관계기관이 참여했던 급수조정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협의된 내용의 골자는 ‘시군별 총량제’에 따라 급수 조정을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악의 가뭄상황 가정하에 보령댐에 남아있는 물을 금강-보령댐 도수로 공사 완료전까지 나눠쓴다면 매일 약 3만3000톤씩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는 분석이다.

보령댐에서 일정량을 각 시군에 분배시켜 주면 각 지역에서 주어진 양에 맞춰 급수조정에 들어가는데, 만약 주어진 양 안에서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 광역밸브가 조정되는 상황까지도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당초 k-water가 제시한 목표 절감량은 20%로 4만4000톤(하루 기준)이었다. 그러나 당진 화력발전과, 서천군 급수가 타 광역상수원(대청댐, 용담댐)과 연계가능해 지면서 절감량이 3만3000톤으로 줄어들었으므로 이는 여유롭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도는 이번 주 내로 8개 시·군 목표치를 확정하고 그 다음 주부터 이달 말까지 모니터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모니터링 후에는 본격적으로 총량제를 적용시켜 그에 맞는 급수조정에 들어가겠다는 복안이다.

도 관계자는 “총량제에 따라 급수 조정을 하다 보면 잘 지키지 못하는 지역의 경우 단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광역밸브를 조정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요점은 일정량의 물을 각지역에 분배한다는 것이지 처음부터 광역밸브 조정(강제 제한급수)을 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에서는 도민들의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강제 급수’, ‘단수’라는 용어를 지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oalaluv191@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