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최악 가뭄으로 산불 비상… 평균 대비 74%나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림청 12월 15일까지 비상체제 돌입… 등산로 폐쇄 등

뉴스1

제6차 세계산불총회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산불 진화 시연 모습 (평창=뉴스1) 서근영 기자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산림청은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전국 산불관리기관에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운영한다.

27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 초부터 시작된 최악의 가뭄과 건조한 날씨로 가을철 산불 위험이 매우 높다. 실제 올해(1월 1일~10월 20일) 발생된 산불 건수는 총 591건으로 지난 10년(2005년~2014년) 평균(340건) 대비 74%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경기도가 3배 이상, 인천이 2배 이상, 강원도가 2배 가까이 늘었다.

가을철 산불발생의 주요 원인을 보면 입산객 실수로 불을 낸 경우가 59%로 가장 많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해 입산통제구역 지정, 등산로 폐쇄를 통해 부주의로 인한 산불발생을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입산통제와 폐쇄 등산로 정보는 11월 1일부터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향후 네이버·다음 등 지도 웹서비스에 게시할 예정이다.

또 산림청은 산불 발생 시 조사감식반을 편성해 원인 조사를 철저히 하고, 가해자를 적발해 대국민 경각심을 높일 계획이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pcs4200@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