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8 (화)

'방산비리' 황기철 前 해군참모총장, 18시간 조사 끝 귀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이 17일 통영함 납품 비리에 연루된 혐의로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의 조사를 받았다. 사진은 조사를 받기 위해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출석한 모습. / 사진=뉴스1


통영함 납품 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58)이 18시간에 걸친 강도 높은 검찰 조사를 받았다.

전날 오전 9시20분쯤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한 황 전 총장은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의 조사를 받고 18일 새벽 3시15분쯤 귀가했다.

조사를 마치고 청사 밖으로 나온 황 전 총장은 "검찰 조사에서 어떤 부분 소명했나?" "조작된 서류에 결재한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을 밝혔나?" 등의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은 채 "성실히 조사에 임했다"는 말만 남겼다.

황 전 총장은 2009년 통영함 등 사업을 추진할 당시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으로 근무하며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 평가 결과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아 손실을 끼친 혐의(배임)를 받고 있다. 합수단은 오모 전 대령(57·구속기소)이 허위 서류를 작성하도록 황 전 총장이 지시하거나 서류의 문제점을 알고도 묵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해 5~7월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등을 대상으로 감사를 벌인 결과 통영함의 음파탐지기 성능이 1970년대에 건조된 평택함의 것과 비슷한 수준인 것을 확인했다. 수사에 착수한 합수단은 황 전 총장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는 한편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합수단은 조만간 황 전 총장을 다시 소환해 보강조사를 벌인 뒤 사전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통영함은 2012년 9월 진수될 때 '국내 기술로 제작된 최첨단 수상 구조함'으로 관심을 모았지만 해군은 음파탐지기 등 핵심 장비의 성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인수를 거부해왔다. 1600억여원이 투입됐지만 세월호 사고 직후 구조 작업에도 투입되지 못해 논란이 일었다.

한편 황 전 총장은 지난해 12월 감사원이 통영함 사업에 대한 문책 차원에서 국방부에 인사 조치를 권고하자 임기가 끝나기 7개월 전인 지난달 총장직에서 물러났다.

황재하 기자 jaejae3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