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떨어질수록 최상목 '수익 상승'…야권 맹비난
인사청문회 뒤 팔았지만…지난해 다시 미국 국채 사들여
기재부 "재산 등록 의무는 있지만 보유 제한은 없다"
[앵커]
환율을 방어해야 할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환율이 오를수록 돈을 버는 미국채에 투자한 게 드러나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앞서 최 부총리는 경찰 조사에서 '외환 충격을 막기 위해 계엄에 반대하며 회의실을 박차고 나왔다'고 진술했었는데, 진정성이 있었느냐는 비판까지 나옵니다.
유선의 기자입니다.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지난해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2억원 가까이 투자한 사실이 알려진 뒤 야권에선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이언주/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 환율 급등에 베팅한 행위는 공직자윤리법상 이해충돌 행위와 형사상 배임죄에 해당할 뿐 아니라 경제 내란이자 국민을 배신한 행위입니다.]
최 부총리는 앞서 2023년 국회 인사청문회 때도 1억 7천만원 가량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고 팔았는데, 그 이후 또 다시 미국 국채를 사들였던 겁니다.
12·3 내란사태 당시, 최 부총리는 외환시장을 챙기느라 윤석열 대통령이 준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받은 사실도 잊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경찰 조사에서도 계엄에 반대하면서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경제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자신의 판단으로 F4 회의를 열었다고 진술했습니다.
내란 사태 이후 환율이 급등했을 때는 자신이 앞장서서 막고 있다고 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24년 12월 / 국회) : 저희는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한국은행과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어서…]
기획재정부는 최 부총리가 사들인 미국채에 대해 재산 등록 의무는 있지만 보유가 제한되는 건 아니라며 사실상 법을 어긴 건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박재현 / 영상편집 이지혜 / 영상디자인 고민재]
유선의 기자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