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사이버보안 연구 저변 확대 기대
성능검증위성(상상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임무 종료한 인공위성을 재활용한 우주 사이버보안 연구가 본격 시작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이하 국보연)는 국가정보원·우주항공청과 함께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연구에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2년 6월 누리호 2차 발사 때 궤도에 안착한 ‘성능검증위성(PVSAT)’을 임무완료 후 재활용해, 우주궤도상에서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을 시험한다.
이에 따라 항우연은 위성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고, 국보연은 보안기술 전문성을 활용해 사이버보안 기술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 국가정보원과 우주항공청은 우주자산을 사이버 위협에서 보호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관계기관 합동 ‘위성 사이버보안 협의체’를 운영 중으로, 이번 협력사업을 시작으로 우주 사이버보안 연구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 학계 등과 연구목적 국가 우주자산 활용이 가능토록 사업을 적극 발굴할 예정이다.
황수훈 국보연 소장은 “우주자원과 기술에 대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우주공간은 새로운 국가안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우주 분야 국가 경쟁력 향상과 국가안보 유지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토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