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울주군 산불이 발생한 지 닷새째인 어제(26일)도 불길은 완전히 잡히지 않았습니다.
현장에는 마른 낙엽과 재선충 감염목 더미가 많아, 한 번 껐던 불도 다시 살아나는 상황인데요.
그나마 다행인 건 오늘(27일) 비 예보가 있다는 점입니다.
전동흔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민가와 가까운 야산에서 거센 불길이 치솟습니다.
재선충병에 걸려 잘라놓은 나뭇더미에 불이 붙은 겁니다.
소방대원이 연신 물을 뿌려보지만, 불길은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강우진 / 내광마을 주민> "소나무재선충 나무 때문에 지금 불이 확산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소나무재선충 나무를 감염된 걸 다 자르고 해서 덮어놓은 거다 보니까 거의 (불붙는 속도가) 휘발유라고 생각하면 되죠."
불길이 쉽게 재확산되는 이유는 산에 타기 쉬운 것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직접 올라가 본 대운산 산불 현장.
마른 낙엽이 사방에 깔려있고, 곳곳에 재선충 감염목 더미가 불쏘시개처럼 널려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헬기 운용 공백은 더욱 치명적이었습니다.
26일 낮 12시 51분쯤, 경북 의성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 한 대가 추락했고, 이에 따라 울산 지역도 오후 3시 30분까지 헬기 투입이 중단됐습니다.
헬기가 빠진 사이 바람을 타고 불씨가 사방으로 튀었고 결국 민가까지 불길이 위협하게 된 겁니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불길.
하지만 비 예보가 진화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옵니다.
<김두겸 / 울산시장> "(비가 오면) 그 자체만 해도 습기를 머금기 때문에 불의 확진은 좀 많이 막을 수 있을 것 같다 하는 그런 생각이고 내일(26일) 오후 돼야 한 5mm 정도 비가 온다니까…"
한때 98%까지 올라갔던 진화율은, 계속된 재발화로 다시 70%대로 떨어진 상황.
지난 22일 시작된 산불로 확인된 피해 면적은 681만 제곱미터에 달하지만, 불길은 여전히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전동흔입니다.
[영상취재기자 : 김민엽, 박지용]
[영상편집기자 : 강태임]
#울산울주군 #온양읍산불 #재발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전동흔(east@yna.co.kr)
울주군 산불이 발생한 지 닷새째인 어제(26일)도 불길은 완전히 잡히지 않았습니다.
현장에는 마른 낙엽과 재선충 감염목 더미가 많아, 한 번 껐던 불도 다시 살아나는 상황인데요.
그나마 다행인 건 오늘(27일) 비 예보가 있다는 점입니다.
전동흔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재선충병에 걸려 잘라놓은 나뭇더미에 불이 붙은 겁니다.
소방대원이 연신 물을 뿌려보지만, 불길은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강우진 / 내광마을 주민> "소나무재선충 나무 때문에 지금 불이 확산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소나무재선충 나무를 감염된 걸 다 자르고 해서 덮어놓은 거다 보니까 거의 (불붙는 속도가) 휘발유라고 생각하면 되죠."
직접 올라가 본 대운산 산불 현장.
마른 낙엽이 사방에 깔려있고, 곳곳에 재선충 감염목 더미가 불쏘시개처럼 널려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헬기 운용 공백은 더욱 치명적이었습니다.
헬기가 빠진 사이 바람을 타고 불씨가 사방으로 튀었고 결국 민가까지 불길이 위협하게 된 겁니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불길.
하지만 비 예보가 진화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옵니다.
한때 98%까지 올라갔던 진화율은, 계속된 재발화로 다시 70%대로 떨어진 상황.
지난 22일 시작된 산불로 확인된 피해 면적은 681만 제곱미터에 달하지만, 불길은 여전히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전동흔입니다.
[영상취재기자 : 김민엽, 박지용]
[영상편집기자 : 강태임]
#울산울주군 #온양읍산불 #재발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전동흔(east@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