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전문가 위주로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 구성
도시철도 건설공사구간 등 위험지역 중심 GPR 탐사 강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대형 싱크홀 발생 |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시는 지난 24일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함께 조사위를 꾸려 원인 규명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우선 국토부와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지하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른 외부 전문가로 조사위를 구성한다.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기 전, 시는 사고 관련 영상과 계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 조사위에 제공할 예정이다.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싱크홀 우려가 높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도 강화한다.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공사장 300여개소 주변 도로에 대해서도 GPR탐사를 강화해 추진한다.
도시철도 건설 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총 3곳으로 ▲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24㎞, ▲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 ▲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사업 5㎞ 구간이다.
시는 사고 이후 4차례에 걸친 GPR 조사를 통해 사고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현장 복구는 사고 원인 조사에 지장이 없도록 지하 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 등을 거쳐 계획을 세워 추진한다.
시는 아울러 사고 원인으로 거론되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지하 시설물, 지하철 9호선 공사, 토질적 특성, 서울세종고속도로 터널 구간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국토부와 함께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을 빠짐없이 깊이 있게 검토하고 시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객관적인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