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들으신 것처럼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한 도로 아래에선 지하철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4년 전 전문가들이 지반이 내려앉을 위험이 있다며 이 지하철 공사에 대해 우려의 뜻을 밝혔던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자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20m 가까이 패인 싱크홀 옆에 공사 현장이 보입니다.
[김창섭/서울 강동소방서 소방행정과장 : 싱크홀 아래쪽에서는 지금 지하철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고 하는데…]
이 공사 현장 바로 옆에는 올해 초 개통된 '서울세종고속도로 지하터널'이 지나갑니다.
싱크홀이 생긴 곳은 9호선 공사 구간과 고속도로 지하 터널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9호선 연장 공사가 발주됐던 2021년 4월 한국터널환경학회는 서울시에 공문 한통을 보냈습니다.
"9호선 4단계 노선이 서울세종고속도로 강동구간 지하터널과 가까워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입니다.
4단계 노선은 어제 싱크홀이 발생한 바로 그 지점입니다.
서울 강동구 일대에서 고속도로 지하 터널 공사가 한창일 때 학회가 주변 건물과 도로 상태를 점검했고 각종 균열과 침하 현상이 발견됐습니다.
[이찬우/한국환경터널협회장 :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하면서 지하 수위가 물이 빠지면서 낮아졌겠죠. 낮아지면서 토사도 흘러내려 가고 지반이 느슨한 상태로 있었잖겠습니까. 그 상태에서 중첩해서 인접 구간에 9호선 연장 공사를 하게 되면, 그 (침하) 범위가 가속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죠.]
서울시는 9호선 연장 공사 착수하기 전 이같은 학회의 우려에 "설계에 참고하겠다"는 답변만 보냈습니다.
[영상취재 정철원 박대권 김대호 / 영상편집 이지혜 / 영상디자인 허성운]
이자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